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3-10-03 08:03:49
0 5 0
[경제] 세계은행, 내년 中 경제성장률 전망 4.8→4.4%로 하향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세계은행, 내년 中 경제성장률 전망 4.8→4.4%로 하향
내용

 

 

입력2023.10.02. 오후 3:12  수정2023.10.02. 오후 3:13

골드만삭스 "中, 구리 등 원자재 수요 증가…녹색경제 수혜"
 

국경절 연휴 중국의 한 기차역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부동산 경기 둔화 등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세계은행(WB)이 내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4%로 하향했다.

2일 블룸버그통신과 CNBC방송 등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이날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4월 발표 당시와 같은 5.1%로 유지하면서도 내년 성장률 전망은 4월 4.8%보다 0.4%포인트 낮춰잡았다.

그러면서 높은 부채 수준, 부동산 경기 둔화, 고령화를 비롯한 '장기적인 구조적 요인' 등을 전망 하향의 근거로 들었다.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파푸아뉴기니 등 태평양 도서국들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및 태평양(EAP) 개발도상국' 경제 성장률의 경우 올해 전망치가 5.1%에서 5.0%로, 내년 전망치가 4.8%에서 4.5%로 하향됐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문제가 해당 지역 전체에 중요하다"면서 "중국 성장률의 1% 감소는 이 지역 성장률 0.3%포인트 감소와 관련 있다"고 말했다.

세계은행은 더딘 코로나19 회복세, 중국 부동산 위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등을 근거로 이 지역 성장률이 기록적으로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영국매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하기도 했다.

이 지역 성장률이 내년 전망치보다 낮았던 때는 1980년대 이후 아시아 경제위기 때인 1998년(+2.9%), 코로나19 확산 초반이었던 2020년(+1.3%) 정도라는 것이다.

세계은행은 또 중국·태국·베트남 등에서 일반정부 부채와 기업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면서 정부 부채가 많으면 민관 부문의 투자가 제한될 수 있고 부채 증가로 인한 금리 상승 시 사기업들의 대출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중국·말레이시아·태국 등에서 가계 부채가 비교적 많다면서, 가계가 빚을 갚는 데 소득을 쓰면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소매 판매 증가 속도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 더딘데, 여기에는 집값 하락,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 예비적 저축 및 부채 증가 등이 영향을 끼쳤다고 세계은행은 분석했다.

다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석유·구리 등 주요 원자재에 대한 중국 측 수요가 탄탄한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중국의 구리·철광석·석유 수요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 7%, 6% 증가해 골드만삭스의 전망치를 상회했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이러한 수요 증가는 녹색경제, 전력망, 부동산 완공 등에 따른 강력한 성장 등과 관련 있다"고 평가했다.

bscha@yna.co.kr
 

차병섭(bscha@yna.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