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3-10-24 12:51:42
0 12 0
[경제] 지난달 中자본유출 규모 7년來 최대… 위안화 약세 압력으로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지난달 中자본유출 규모 7년來 최대… 위안화 약세 압력으로
내용

 

 입력2023.10.23. 오후 5:12

 

골드만삭스 "지난달 101조원 순유출"
국채 보유량 2조원↓··· 증시 2개월간 29조원 빠져

지난 20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표시된 전광판 앞을 스쿠터와 자전거를 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EPA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달 중국 내 자본 유출 규모가 2016년 이후 약 7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3일 골드만삭스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 경기가 부동산시장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둔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자금을 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고스란히 위안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통신은 지난달 중국 역내 현물·선물시장 거래, 역외 순지급된 위안화 규모 등을 취합한 결과 750억달러(약 101조5000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는 전월대비 80% 늘어난 수준이며, 2016년 말 이후 가장 많다.

중국 내 자본유출 양상은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지난달 중국 역내 은행이 고객에게 순 판매한 외환 규모가 194억 달러(약 26조2000억원)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고조된 2018년 11월 이후 최대 규모다. 은행들이 고객 대신 해외로 순 송금한 자금 규모도 539억 달러(약 72조9000억원)로 558억 달러를 기록한 2016년 1월 이후 가장 많았다. 그 외 서비스수지는 해외여행 증가에 따라,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는 외국인직접투자(FDI) 감소 등에 따라 나란히 적자를 보였다.

중국 채권·주식시장 모두 자금이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중국 국채등기결산유한책임공사(CCDC)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 자본의 중국 국채 보유분은 135억 위안(약 2조5천억원)가량 감소한 2조700억 위안이었다.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다. 증시의 경우 올 8월 7일부터 10월 19일 사이 선강퉁·후강퉁을 통해 221억 달러(약 29조9000억원)가 순유출됐다.

모건스탠리 전략가들은 중국 증시에서의 자본 유출이 전례 없는 단계에 진입했으며 추가 부양책이 있을 때까지 매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중 간 금리 격차가 20년 사이 최고 수준까지 벌어진 것도 자본유출을 부채질한다.

문제는 이 같은 자본 유출이 위안화 환율 상승(통화가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골드만삭스는 메모를 통해 “미중 금리 격차는 향후 몇 달간 계속 위안화 가치 하락과 자본 유출 압력이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날 역외 위안·달러 환율은 장중 한때 전장 대비 0.0036위안 내린 7.3236위안, 역내 위안·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0.0021위안 오른 7.3172위안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박준호 기자(violator@sedaily.com)

기자 프로필

원문
출처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