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1-09 09:34:46
0 10 0
[경제] "66조 시장 뒤흔들었다"…한국인 여성 '잭팟' 해외서도 주목
내용

 입력2024.01.08. 오후 12:31  수정2024.01.08. 오후 3:03

 

WSJ, 김정수 삼양 부회장 조명
"매운 음식 맛집서 착안…'불닭볶음면' 출시 주도"

 

사진= 뉴스1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옛 삼양식품그룹) 부회장(사진)을 "500억달러(약 65조 6950억원) 규모 라면시장을 뒤흔든 여성"이라며 집중 조명했다. 김 부회장이 주도해 2012년 선보인 매운맛 라면 브랜드 '불닭'은 10년여간 40억개 넘는 판매고를 기록하며 삼양식품의 대표상품으로 등극했다.

WSJ은 6일(현지시간) 삼양식품그룹에 시집와 전업주부로 살던 김 부회장이 불닭볶음면을 히트상품으로 만들기까지의 이력 등을 담은 '500억달러 규모 라면시장을 뒤흔든 여성'이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WSJ에 따르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미국 주요 대형마트에 입점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코스트코, 월마트, 앨버슨 등에 진출해있고 조만간 크로거에서도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월마트에서는 불닭볶음면이 현재 가장 많이 팔리는 프리미엄 라면 중 하나로 꼽힌다. 

시장 성장과 함께 일본 닛신 등 경쟁사보다 삼양식품이 프리미엄 라면 시장을 겨냥해 성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WSJ에 따르면 불닭볶음면은 미국에서 입지를 굳힌 일본 마루짱, 닛신 등 제품보다 세 배 정도 비싸다.
 

삼양라운드스퀘어 김정수 부회장/사진=삼양라운드스퀘어
또한 삼양라면 제품을 포함한 한국의 라면 수출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상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출시 60년을 맞은 한국라면의 수출액은 10억달러에 육박, 역대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수출물량 전량을 한국에서 생산하는 삼양식품은 한국 라면 수출액 증가의 공신으로 꼽힌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라면 수출액은 전년보다 24% 증가한 9억5200만달러(약 1조2524억원)로 잠정 집계됐다. 그 결과, 지난해 코스피지수가 19% 상승하는 동안 삼양식품의 주가는 70% 올라 주목받았다.

이 같은 불닭볶음면 성공을 이끈 인물로는 김정수 부회장이 꼽힌다. 김 부회장은 2010년 봄 당시 고등학생이던 딸과 함께 매운맛으로 유명한 한 볶음밥 가게를 다녀와 불닭볶음면을 생각해냈다. 식당에서 손님들이 그릇을 깨끗이 비운 것을 본 김 부회장은 본인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매운맛이었지만 소비자의 반응을 보고 라면 버전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사진=월스트리트저널 홈페이지 캡쳐
김 부회장은 근처 슈퍼마켓으로 뛰어가 비치된 모든 매운 소스와 조미료를 3개씩 구입해 삼양식품 연구소와 마케팅팀으로 보냈고 나머지 하나는 집으로 들고 왔다. 

상품화하기 위한 최적의 맛을 찾는 데는 수개월이 소요됐다. 김 회장은 WSJ에 첫 시제품을 시식했을 당시 "(매워서) 거의 먹지 못했지만, 오래 먹다 보니 갈수록 맛있고 익숙해졌다"고 설명했다.

2012년 출시 후 국내 시장에서 새로운 매운맛 라면으로 인기를 끈 불닭볶음면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타고 세계에 알려졌다. 특히 월드스타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가 즐겨 먹는 제품으로 꼽히며 전 세계 팬덤에 제품이 알려졌고, SNS에서 매운맛에 도전하는 '불닭 챌린지'가 확산해 해외에서 입지를 굳혔다.  

김 부회장 본인도 SNS 입소문을 통한 성공은 예상치 못했다는 후문이다. 삼양식품이 제품 홍보를 위해 유튜버에게 돈을 지불하지 않았음에도 꾸준히 영상이 올라오며 홍보 효과를 누린 것.

김 부회장은 한국 첫 라면인 삼양라면을 만든 삼양식품 창업주 고(故) 전중윤 전 명예회장의 며느리다. 결혼 후 전업주부로 살던 그는 삼양식품이 외환위기 때 부도를 맞자 1998년 입사해 남편인 전인장 전 회장을 도왔다. 김 부회장은 "당시는 절박감만 있었다"고 회고했다. 김 부회장은 기업 경영 경험은 없었으나 시아버지인 전 전 명예회장 생전 회사의 사업 문제를 놓고 자주 대화를 나눴다. 김 부회장은 "경영진으로 복귀하면서 오로지 책임을 다해 회사를 이끌어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스크랩 0
편집인2024-10-31
편집인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