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6-25 13:40:36
0 0 0
[경제] "한국 5% 오를 동안 日15%·臺30% 뛰었다" 코스피 향배는?
내용

 

입력2024.06.25. 오후 12:35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764.73)보다 1.03포인트(0.04%) 오른 2765.76,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41.52)보다 2.02포인트(0.24%) 하락한 839.50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89.0원)보다 1.8원 내린 1387.2원에 출발한 2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24.06.25. mangusta@newsis.com /사진=김선웅

 

한국 코스피지수가 올해 상반기 일진일퇴를 거듭하면서 상승률이 주요 금융강국 지수들을 상당폭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신흥국 가운데는 한국보다 상승폭이 10배 가까운 국가(터키)도 나왔다.

본격화한 미국 대선 레이스에 따른 환율 변동 가능성, 기업 실적, 국내 증시 대장주 삼성전자의 주가 추이 등이 지수 향배를 좌우할 키워드로 부상했다.

 

 

코스피 5% 오를 동안 일본 15%, 대만 30% 올라 …지표 혼조 중국은 0.8% 그쳐

 

아시아에선 일본 도쿄 증시 닛케이225지수가 15.3% 올랐다. 버블(거품)경제 이후 잃어버린 30년을 회복할 것이란 경기 낙관론이 올들어 고조된 영향으로 보인다.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 불리는 홍콩항셍지수는 5.8% 뛰었다.

 

신흥국 가운데선 대만 가권지수가 29.7%나 뛰어 코스피를 압도했다. 튀르키예의 경우 보르사 이스탄불 100지수가 44.2% 폭등했다. 튀르키예의 경우는 고물가 상황에서 자산 방어를 위해 주식 매수가 급증한 국가로 알려졌다.

다만 경제 지표가 혼조세를 나타낸 중국에선 상하이종합지수가 0.8% 상승하는 데 그쳤다. 조기 총선을 앞두고 정치 부확실성 우경화 우려가 부각된 프랑스(1.1%)도 상승폭은 저조했다.

 

 

고환율에도 선방했나…마이크론 실적·미국 대선 레이스 주목


 

(서울=뉴스1) = 삼성전자는 25일부터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샬럿에서 열린 세계 최대 호텔 기술 전시회 '하이텍 2024'에서 '애플 에어플레이' 기능을 탑재한 호텔 TV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에어플레이는 무선 콘텐츠 공유 기술로 호텔 투숙객이 객실 TV 화면의 QR 코드를 스캔하면, 보유한 아이폰 등 iOS 및 iPad OS 기기를 TV에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삼성전자 직원이 삼성전자의 호텔TV 전용 통합 매니지먼트 솔루션인 '링크 클라우드(LYNK Cloud)'를 체험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2024.6.2 /사진=(서울=뉴스1)

 

코스피지수가 두드러지게 오르진 못했지만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고환율 악재에도 외국인은 올 상반기 순매수를 유지했다. 코스피지수는 최근시가총액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35%선으로 지난해 연말(32.72%)보다 높아졌다. 원/달러 환율은 최근 1300원 후반대인 고환율(달러 대비 원화 약세) 여건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상반기 코스피는 통화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 리스크 여파로 다사다난했다"면서도 "외국인이 여전히 순매수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고환율을 외국인이 언제, 어느 수준까지 감내할 수 있느냐다. 고환율이 심화될수록 외국인 투자자들은 환차손 위험을 점점 크게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 환율 관련 이슈론 이달 30일(이하 현지시간) 1차 투표와 다음달 7일 결선투표가 예정된 프랑스 총선과 오는 27일 밤 예정된 미국 대선 TV토론이 꼽힌다. 특히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 대선 주자들의 발언, 공약이 환율을 일시적으로 흔들 가능성이 제기됐다. TV토론에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맞붙는다.

기업 수출, 실적 측면에선 원화 약세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2분기까지 소외됐던 한국 증시는 3분기 기대감을 가져도 좋은 국면"이라며 "낮은 수출 기저와 원화 약세 조합은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확률을 높인다"고 전망했다. 26일로 예정된 미국 최대 메모리칩 생산업체 마이크론의 실적발표는 마이크론의 반도체 생태계 공급원인 삼성전자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이슈로 거론됐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해 연말 78500원에 마감한 뒤 올들어 8만 선에서 공방을 거듭 중이다. 국내 증시 시가총액 1위인 대장주란 시각에서 코스피지수의 향배에 영향을 미칠 종목으로 꼽힌다.

 

 

김지훈 기자 (lhshy@mt.co.kr)

 

편집인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