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7-08 06:57:40
0 0 0
[경제] 기업 신용등급 무더기 강등… 3곳 중 2곳 떨어져
내용

 

입력2024.07.08. 오전 12:36

 

 

국내 신용평가사 3곳의 진단

올해 상반기 국내 기업들의 신용 등급(신용 등급 전망 포함)이 3곳 중 2곳꼴로 하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기업들 재무 상황이 악화한 데다, 건설업·석유화학 등 일부 업종의 실적 부진이 계속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부실 여파로 평가 대상 중 절반 넘는 곳의 신용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기업 신용 등급이 떨어지면, 기업들의 조달 금리가 올라가고 부도 가능성이 높아진다. 가뜩이나 매출이 줄고 부실이 늘어 신용 등급이 낮아지는 건데, 기업들이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신용 등급 하락 기업이 늘어나 ‘도미노 부도’ 등으로 이어진다면 이미 부동산 부실, 가계 부채 증가, 내수 부진 등으로 체력이 허약해진 한국 경제에 또 다른 ‘위기 뇌관’이 될 수 있다.


 

그래픽=백형선

 


◇기업 3곳 중 2곳 신용 등급 하향

7일 한국기업평가(한기평), 한국신용평가(한신평),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에 따르면, 한기평은 올 상반기 63개 기업의 신용 등급과 전망을 조정했는데 이 중 42곳(67%)의 신용 등급, 전망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한신평은 기업 55곳의 신용 등급을 조정했고, 39곳(71%)의 신용 등급과 전망을 낮췄다. 지난해 상반기엔 44곳 중 22개(50%) 기업에 대한 평가를 상향 조정한 것과 대조적이다. 나신평은 평가를 조정한 74곳 중 47곳(64%)에 대한 평가를 낮췄다. 신용평가사들은 신용 등급을 보유한 기업들의 재무 상태와 국내외 경제 상황 등을 반영해 매년 6월 장기 신용 등급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건설·석유화학업이 신용 강등 주도”

올 상반기 신용 등급이 낮아진 기업으로는 건설업, 석유화학 업종 기업이 상당수 이름을 올렸다. 건설업은 부동산 PF 부실로 인한 우발 채무 부담과 미분양 물량 증가 등이 신용 등급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초 1만1867가구 수준이던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 5월 1만3230가구로 꾸준히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전체 미분양 물량도 6만4874가구에서 7만2129가구로 늘었다.

석유화학 업계도 부진을 떨쳐내지 못했다. 석유화학 업계의 업황 부진 원인으로는 중국발 공급 과잉과 저가 공세 등이 꼽힌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일 “중국의 플라스틱이 내수 위축에 부딪혀 과잉 공급될 위험에 처했다”며 “이는 전 세계의 새로운 무역 문제로 번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석유화학공업연맹에 따르면 중국 내 폴리프로필렌은 연간 1840만 톤이 초과 공급되며 글리콜(940만 톤), 폴리에틸렌(360만 톤), 메탄올(240만 톤) 등도 모두 공급 과잉 상태다. 문제는 최근 중국이 이 같은 초과 공급 물량을 저가에 해외로 밀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한신평은 ‘2024년 상반기 신용 등급 변동 현황’에서 “건설과 석유화학 기업들이 신용 등급 하향을 주도했고 하반기 역시 비슷한 흐름이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고금리 기조에 변동이 있을지 여부도 향후 하반기 기업 신용 등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 시점이 밀리면서 국내 기준 금리 인하 시점도 늦어지고 있다”며 “고금리 기조가 계속될 경우 기업의 재무 부담 가중 등 신용 등급이 낮아지는 추이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예금은행의 기업 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2022년 4분기(10~12월) 연 5%대를 돌파한 이후 올해 1분기(1~3월)까지 계속해서 연 5%대를 유지하고 있다. 기업 대출 금리가 1년 넘게 연 5%대를 유지한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부동산PF 부실 여파에 저축은행 신용 등급 ‘휘청’

금융 부문에선 저축은행들의 신용 등급 ‘줄하락’이 눈길을 끌었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기평·한신평·나신평 등 3대 신용평가사에서 신용 등급을 보유한 30개 저축은행 중 16곳의 신용등급이나 전망이 나빠졌다.

작년부터 부동산PF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급격히 충당금을 쌓은 점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계의 전체 적자 규모가 5758억원에 이른 점도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진 영향이라는 분석이 많다. 충당금이란 떼일 것으로 예상되는 돈을 미리 비용으로 반영한 돈을 말한다.

실제 저축은행들의 성장성을 보여주는 자산 규모는 눈에 띄게 감소세다. 나신평에 따르면 2022년 말 약 139조원까지 늘어났던 저축은행들의 총자산은 올해 1분기 123조원 수준으로 줄었다. 전체 업계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일보

김희래 기자 raykim@chosun.com

편집인2024-07-24
편집인202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