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23.02.27. 오후 5:11 수정2023.02.27. 오후 5:12
비정부기구 보고서…"대규모 정전 막기 위한 예비시설 가능성"
2021년 9월 중국 장쑤성의 한 화력발전 단지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된 가운데, 중국이 청정에너지 발전을 강조하던 최근 흐름과 달리 지난해 석탄 화력발전소 신규 건설 허가를 대폭 늘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비정부기구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와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는 27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중국에서 신규 건설 허가된 석탄발전소 용량이 106GW(기가와트)로 2021년(23GW)의 4.6배로 불어났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신규 허가 규모는 2015년 이후 최대로, 영국의 전체 발전량과 맞먹는 수준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에 따라 이미 작년에 착공한 중국 석탄발전소 규모는 50GW로 2021년 대비 50% 넘게 늘었으며, 세계의 나머지 석탄발전소 착공 규모의 6배 수준에 이르렀다.
GEM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석탄발전이 퇴조하는 가운데 중국은 계속 두드러진 예외 사례가 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허가에서 건설까지 사업 진행 속도가 대단했다"고 평가했다.
중국에서는 2021년 9월 대규모 전력 부족 사태로 가정과 생산시설의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한 바 있으며, 지난해에도 가뭄에 따른 수력 발전 감소로 전력 부족을 겪은 바 있다.
게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 안보 우려도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이들 석탄발전소는 대규모 정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예비 성격이 강한 만큼, 완공 후 반드시 전량 사용되지는 않을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중국이 태양광·풍력 등 청정에너지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고 태양광·풍력은 설치 후 전력 생산에 따른 추가 비용이 거의 없는 만큼, 청정에너지로 전력 사용량을 충분히 감당 가능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석탄발전소 가동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서 2020년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은 뒤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이른바 '쌍탄(雙炭) 목표'를 선언했다.
CREA 관계자는 "2030년 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시급한 조치는 청정에너지가 전체 전력 수요 증가세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투자를 늘리는 것"이라면서 "이는 석탄발전 수요가 줄어든다는 의미"라고 관측했다.
bscha@yna.co.kr
차병섭(bsch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