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3-10-11 12:27:52
0 9 0
[사회] 율동 한 번에 10년치 월급 벌었다…女교사 화제에 中청년들 "라방할래"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율동 한 번에 10년치 월급 벌었다…女교사 화제에 中청년들 "라방할래"
내용

 

입력2023.10.11. 오전 8:43  수정2023.10.11. 오전 9:34

 

라이브 방송 진행자 '황교사' 3억 수익 화제
청년층 선호 직업 부상…계정 1억5000만개
"대다수 월 100만원 못 벌어…극소수 성공"라이브 방송 세 번 만에 3억원 넘는 수익을 올린 유치원 교사가 중국에서 큰 화제를 모으면서, 취업난에 빠진 청년들이 대거 뛰어들고 있다.

중국 공연산업협회 등이 공동 발간한 '온라인 생방송 및 짧은 영상 산업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중국의 온라인 방송 계정이 1억 5000만개를 돌파하면서 전년과 비교해 7.1% 증가했다고 10일(현지시각) 현지 매체인 홍성신문이 보도했다.

첫방에 연봉 10배 모은 '황교사' 화제 

유치원생에게 귀여운 율동으로 동요를 가르치는 모습으로 화제를 모은 뒤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로 나선 황교사. [이미지출처=더우인 영상 캡처]

최근 온라인 생방송 진행자로 나서는 젊은 고학력자가 늘면서 라이브 커머스로 전문화되고 있으며, 청년층이 선호하는 직업으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됐다. 라이브 커머스는 쇼호스트가 채팅을 통해 시청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온라인으로 상품을 소개하는 생방송을 말한다.

이 같은 열풍은 올해 5월 영상 플랫폼 '더우인'에서 유치원생에게 귀여운 율동으로 동요를 가르치는 모습으로 스타가 된 '황교사' 때문에 눈에 띄게 나타났다. 유치원 음악 교사로 일하던 그는 이 영상 하나로 팔로워 500만명을 보유하는 등 큰 화제를 모았다.

황교사는 여세를 몰아 지난달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로 나섰는데, 첫 방송에 40~50만위안(약 7700~9600만원)의 수입을 거둔 것으로 전해졌다. 유치원 교사 당시 월급은 3000위안(약 58만원)으로, 연봉의 10배 이상을 거머쥐며 대박을 터뜨린 것이다.

황교사는 한 달간 다섯 번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해 회당 평균 582만명의 시청자를 끌어모았고, 최대 250만위안(약 4억 60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그는 유치원 교사를 그만두고 MCN(다중채널 네트워크) 소속사에 들어가 방송 세 번에 200만위안(약 3억 8400만원)을 정산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생 역전 기회" 뛰어든 中 청년들…대다수 월 100만원↓

지난 8월 11일 서울 중구 명동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거리를 거닐고 있는 모습.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큰돈을 벌어들일 수 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취업난에 허덕이는 청년들도 대거 뛰어들고 있다. 중국의 16∼24세 청년 실업률은 지난 6월 21.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뒤 당국에 의해 베일에 가려졌다.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는 "취업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고 설령 직장을 구해도 빠듯한 월급으로는 팍팍한 삶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인생을 역전할 수 있는 라이브 커머스는 매력적인 직업" 등의 반응이 나왔다.

다만 라이브 커머스에 도전한 대다수는 월 평균 수입이 100만원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전업으로 삼기에는 리스크가 크다는 평가도 나온다. 앞의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방송 진행자 95.2%는 월수입이 5000위안(약 93만원) 이하로 나타났지만, 0.4%만이 월 10만위안(약 1900만원) 이상을 버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체는 "라이브 커머스 업계는 생각만큼 쉽게 부자가 될 수 없는 곳"이라며 "최상위층과 하위층의 소득 격차가 크고 극소수만 성공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급성장 보여

중국은 코로나19 당시 강력한 방역 정책으로 라이브 커머스 시장이 급성장을 이뤘다. 코트라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는 3조 4880억위안(약 642조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48% 증가했고, 2023년은 4조 9000억위안(약 90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라이브 커머스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서울시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민 10명 중 6명은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가에 따르면 국내 라이브 커머스 시장은 2022년 6조원에서 2023년 1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