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3-12-26 11:39:03
0 1 0
[사회] "중국천하 됐다"...한국도 철수한 러 수입차 시장, 80% 중국산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중국천하 됐다"...한국도 철수한 러 수입차 시장, 80% 중국산
내용

 입력2023.12.25. 오후 4:50  수정2023.12.25. 오후 4:52

 

서방 제재 러시아서 중국차 반사이익

수입 새 승용차의 80% 중국산

우크라 사태 후 서방 자동차 업체 철수

그 틈타 3분기 러 신차시장 50% 점유

 

우크라이나 전쟁 후 서방 자동차 업체들이 철수한 뒤, 러시아 시장서 반사이익 챙기는 중국차. [EPA=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자동차 회사들이 줄줄이 철수한 러시아에서 올해 수입된 새 승용차 물량의 80% 이상이 중국에서 수출한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로 상당한 반사 이익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25일(현지시간)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러시아로 수입된 새 승용차는 모두 99만2200대이며, 이 가운데 80% 이상은 중국에서 들어왔다.

러시아 분석업체 오토스탯은 "중국은 러시아에 신차를 공급하는 주요 수출국이 됐다"라며 "인기 있는 중국 브랜드는 체리와 창안, 오모다 등"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의 새 승용차 수입 대부분은 극동 지역을 통해 이뤄진다. 아무르주 블라고베셴스크 세관에서는 올 한해 475대의 새 승용차가 수입됐으며, 이 가운데 90%가 중국 브랜드였다.

나머지는 일본, 한국 브랜드로 나타났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등도 러시아의 새 자동차 수입 통로로 활용된다.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진 이후 미국과 유럽, 일본의 자동차 회사들은 러시아 시장에서 줄줄이 철수하거나 영업을 축소했다.

전쟁 이전만 해도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독일 브랜드가 러시아에서 큰 인기를 끌었지만 지금은 모두 철수한 상태다.

현대차그룹도 지난 19일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가동을 중단했던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지분을 현지업체에 매각하고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대러 제재에 동참하지 않는 중국은 러시아 자동차 시장에 활발히 진출하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그에 힘입어 중국은 올해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 자리에 올라섰다.

현재 러시아에서 대리점 등을 운영하는 중국 자동차 브랜드는 공식적으로 35개며, 이 가운데 19개가 올해 러시아에 진출했다. 중국 업체들은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100종에 달하는 신차 모델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난 2021년 8%에 불과했던 중국 자동차 업체들의 러시아 시장 점유율은 55%로 뛰었다.

반면, 러시아 자동차 업체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 제재로 부품 조달 등이 어려워져 자동차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올해 상반기 러시아 자동차 업체들이 생산한 승용차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0% 감소한 19만7000대로 집계됐다. 

 

박양수 기자(yspark@dt.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4-25
편집인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