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1-02 12:23:59
0 2 0
[사회] "숙청 정치에 공산당 무력화…경제에도 악재"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숙청 정치에 공산당 무력화…경제에도 악재"
내용

입력2024.01.01. 오후 6:35

 

WSJ "시 주석, 부패척결 내세우며 숙청…권력 공고화 행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6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탄생 130주년 기념 좌담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시 주석은 이날 마오쩌둥을 찬양하며 대만과의 통일 의지를 다졌다.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끊임없는 숙청 정치가 공산당을 무력하게 만들고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는 31일(현지시각) 시 주석이 중국 현대사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부패 척결 운동으로 10년 넘게 공산당에 공포를 불어넣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치 중국 건국의 아버지인 마오쩌둥의 '지속적인 혁명'을 연상시킨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WSJ에 따르면 시 주석이 2012년 권력을 잡은 이후 공산당 규율기구는 약 500만명을 권력 남용 등 각종 범죄를 문제 삼아 처벌했다. 이 중에는 별다른 문제가 될만한 범법 행위가 아닌데도 처벌해 과도한 관료주의를 조장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는 주장도 내놨다.

공식 통계상으로 2017년 이후 매년 최소 50만명이 징계를 받았는데 이는 시 주석 전임자 시절의 약 4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2023년에만 금융, 식품, 의료, 반도체,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고위 인사가 처벌받았다. 중국 외교부장과 국방부장이 지난여름 실종됐다가 돌연 해임되면서 숙청 의혹이 제기됐다.

최근에는 중국 입법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정부 자문기구에서 군과 방위산업계 인사 12명이 축출돼 광범위한 군부 개편의 일환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

시 주석 비판론자들은 부패 척결 운동 연장에 대해 더 깨끗한 통치를 위해 필요한 구조적 변화와 투명성 강화를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라고 지적하고 있다. 시 주석이 부패를 개인의 도덕적 실패 탓으로 돌리면서 중앙집권적이고 불투명한 통치 방식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 주석은 지난해 10월 3연임을 시작하기 며칠 전에 "부패와 싸우는 것은 자기 혁명의 가장 철저한 형태"라며 "부패가 일어나게 쉽게 하는 토양과 조건이 계속 존재하는 한 부패와의 싸움은 한 순간도 멈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런 태도는 징계성 숙청을 시 주석과 그의 비전에 충성을 강요하는 수단으로 무기한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것이라는 게 WSJ의 해석이다.

웬웬앙 미국 존스홉킨스대 정치학 교수는 "시 주석이 역설적인 정책도구, 즉 영구적인 캠페인(부패 척결 운동)을 개발했다"고 꼬집었다.

이같은 숙청이 보신주의와 관료주의를 확산시켜 청년 실업률 급상승, 부동산시장과 소비심리 위축, 국가부채 증가, 외국인 투자자의 중국 시장 외면 등 경제 현안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렵게 된다는 주장도 있다.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는 중국 경제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경고다.
 

박상구 기자 sang9@imaeil.com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5-14
편집인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