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1-10 11:00:14
0 4 0
[사회] 디지털 보안 강화하는 중국, 애플 에어드랍 원리 해독했다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디지털 보안 강화하는 중국, 애플 에어드랍 원리 해독했다
내용

입력2024.01.10. 오전 9:29

 

불법 콘텐츠 유포 범죄 용의자 식별 가능
체제 불안 해치는 세력 감시용 사용할 수도
중국에서 자료 전송시 주의 필요해

애플. 연합뉴스
[서울경제] 

디지털 보안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이 애플의 에어드랍 기능 전송 원리를 해독해 발신자 정보를 추출해냈다. 불법 콘텐츠를 유포하는 범죄 용의자의 식별 가능해졌다지만 체제 불안을 해치는 세력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9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베이징시 법무국(BMBJ)에 따르면 현지 법의학 연구소가 애플 기기의 에어드랍 콘텐츠 발신자의 휴대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콘텐츠 수신자로부터 축출할 수 있게 했다고 보도했다. BMBJ는 지난 8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통해 “이런 기술적 혁신을 통해 공안 당국이 에어드랍 기능을 사용해 불법 콘텐츠를 유포하는 수많은 범죄 용의자를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에어드랍은 애플의 근거리 무선 파일 공유 시스템이다.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등을 근처에 있는 다른 애플 기기로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악용해 공공장소에서 주변의 다른 애플 기기 사용자에게 음란물 등을 무차별 전송하는 사례도 발생한다. 환구시보는 “다른 익명의 애플 기기로부터 공격적이고 부적절한 메시지를 받은 것에 대해 대중으로부터 많은 불만이 접수됐다”고 지적했다.

BMBJ도 베이징 경찰에 베이징 지하철에서 자신의 아이폰이 '익명의 부적절한 메시지'가 포함된 동영상을 받았다는 신고를 대중으로부터 접수했다. 조사 결과, 경찰은 용의자들이 에어드랍 기능을 이용해 교통 허브, 버스 정류장, 쇼핑몰 등 혼잡한 공공 장소에 사진, 비디오, 오디오, 기타 파일을 포함한 부적절한 메시지를 익명으로 유포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BMBJ는 에어드랍 기능은 인터넷 연결 없이 익명 전송을 허용하므로 기존 네트워크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이러한 행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공안 기관이 이러한 사례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사용자가 이러한 행위를 모방하기 시작한 만큼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는 발신자의 출처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신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중국의 체제 안정을 해치거나 당국을 비판하는 자료를 주고 받는 경우 범죄 용의자로 처벌받을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국 당국은 최근 경제 문제점을 비판한 글들이 널리 전파될 것을 우려해 웨이보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계정 자체를 없애는 등 검열과 통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최고 금융 전문가인 류지펑 중국 정법대 자본금융연구원 원장이 중국 자본시장의 문제점을 비판한 웨이보의 글은 물론 그의 계정도 사라졌다. 중국 국가안전부는 경제 분야에 대한 부정적인 글을 게재하는 등 경제위기설을 유포할 경우 국가안보 위협으로 가정해 간첩죄 등으로 처벌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애플은 일부 반중 세력이 이 기능을 사용해 부적절한 디지털 전단지를 유포한 이후 2022년 11월 중국 본토의 기기에서 에어드랍 무선 파일 공유 기능의 사용을 제한하기도 했다. 업데이트 후 사용자는 자동으로 종료되기 전 10분 동안만 연락처가 아닌 사람으로부터 파일을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bright@sedaily.com)

원문
출처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