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1-10 11:16:09
0 3 0
[사회] 희귀 혈액형 'p형'… 이 중에서도 新 유형 또 발견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희귀 혈액형 'p형'… 이 중에서도 新 유형 또 발견
내용

 입력2024.01.10. 오전 6:46

 

중국의 한 병원에서 희귀 혈액형 'p형'의 새로운 유형이 발견됐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중국의 한 병원에서 전세계적으로 희귀한 혈액형에 속하는 'p형'의 새로운 유형이 발견됐다. 

지난 7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동부 장쑤성 타이저우에 위치한 타이싱인민병원에서 정기 혈액 검사를 하던 중 혈액형이 p형인 환자에게서 정체불명의 뉴클레오타이드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뉴클레오타이드는 대표적으로 DNA와 RNA 같은 생명의 유전 정보를 기록하는 핵산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즉, 이 환자는 희귀 혈액형인 p형 중에서도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서열을 보유한 혈액형을 가진 셈이다. 이 매체는 "당국이 유전자 샘플을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로 보내 확인한 결과, 전 세계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p형은 희귀 혈액형인 'P형' 혈액형 그룹 안에서도 가장 드문 혈액형이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데, P와 P1, Pk 항원 중 한 종류라도 적혈구 표면에서 발견되면 P형 혈액형으로 구분된다. 약 100년 전인 지난 1927년 학계에 처음 보고된 P형 그룹은 P1, P2, P1k, P2k, p 등 세부 유형으로 나뉜다. P형 혈액형 그룹을 가진 인구는 100만명 중 1명 미만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p형 혈액형인 사람은 수많은 중국인들 중에서도 단 12명에 불과하다고 알려졌다. 연세대 의과대학에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p형 보유자는 전 국민의 약 0.000004%로 추정할 만큼 극히 드물다. 희귀 혈액형 보유자는 같은 종류의 혈액을 갖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아 수혈이나 장기 기증 등이 더욱 까다롭다.

그렇다면 애초에 혈액형은 왜 중요할까? 혈액은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 혈장으로 구성돼있다. 대표적으로 A, B, O, AB형으로 분류되는 혈액형은 수혈이나 장기 기증을 받을 때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항목이다. 혈액형에 따라 기증 대상자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각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이 다른데, 만일 자신과 다른 혈액형의 혈액이 수혈되면 적혈구가 반응해 파괴될 수 있다. 특히 임신 중 다른 혈액형으로 수혈이 이뤄지면 유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혈액형을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또한 혈액형으로 특정 암이나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 위, 대장 등 소화기 기관 내벽에 발생하는 궤양은 O형에서 자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관상동맥질환 등 심혈관질환은 O형에서 특히 낮게 발생한다. A형은 위암에 걸릴 확률이 가장 높고, AB형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기억력에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해나 기자 lhn@chosun.com이가은 인턴기자

원문
출처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