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2-06 11:49:36
0 3 0
[사회] 日외무성, 中 해킹에 뚫렸다·…“美 정부 통보 뒤늦게 확인”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日외무성, 中 해킹에 뚫렸다·…“美 정부 통보 뒤늦게 확인”
내용

 입력2024.02.05. 오후 8:26

 

도쿄 지요다구 가스미가세키 소재 일본 외무성 청사 전경. ⓒ 연합뉴스[데일리안 = 김상도 기자] 일본 외무성 본부와 해외공관이 기밀을 주고받는 외교전문(電文)시스템이 중국의 사이버 공격을 받아 그 내용이 유출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2020년 여름 미 정부가 ‘일본 재외공관의 네트워크가 중국에 노출돼 있다’고 일 정부 측에 알려줬다고 4일 밝혔다. 미국은 당시 유출된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공격 사실을 어떻게 파악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외교 전문'이란 외교를 담당하는 정부부처와 해외공관이 공식적인 지시와 보고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전보를 말한다. 외교관이 외국 정부로부터 얻은 극비정보 등 각종 기밀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만큼 특수암호를 사용하고 통상의 인터넷망과는 다른 폐쇄망을 활용한다. 요미우리는 “공문서 중에서도 특히 기밀이 요구되는 외교전문 시스템이 뚫린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외무성은 정보보안을 이유로 요미우리의 사실 확인 요구를 거부했다.

2020년 당시 미국은 폴 나카소네 국가안보국(NSA) 국장이 직접 도쿄를 방문해 일 정부 고위 당국자와 회담하고 양국 실무자 협의도 갖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다. 요미우리는 “NSA의 최고 간부가 직접 움직였다는 것은 미국이 그만큼 사태를 심각하게 여겼다는 뜻”이라며 미국이 일본에 주요 정부기관 시스템을 열어달라고 요구하기까지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 정부는 이에 난색을 표했고 자율 점검 후 결과를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일 정부는 외무성 외에도 기밀 정보를 다루는 방위성, 경찰청, 공안조사청, 내각정보조사실 등 여러 기관의 시스템을 점검했고 취약한 프로그램을 개선하기로 미국과 합의했다.

당시는 아베 신조 정권 말기로 중국의 부상에 따라 일본이 안보전략을 수정하고 ‘적 기지 공격능력(반격능력)’ 보유를 검토하기 시작했던 때다. 요미우리는 이런 배경을 언급하며 “중국이 외교 전문을 표적으로 삼은 것은 일본 정부 내 (안보전략) 검토상황과 미·일 양국이 공유하는 중국 관련 기밀정보를 빼내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사실 일본 정부에 대한 중국의 해킹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2020년 말 일본 정부의 기밀 안보 정보망이 중국 해커의 공격을 받아 다량의 정보가 노출됐다고 미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한 적이 있다. 당시 일본 정부 대변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중국 해커의) 사이버 공격으로 방위성 기밀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보도를 부인했다.

지난해 11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내부 네트워크에 부정 접속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일본 정부가 밝힌 사건에 대해서도 배후로 중국을 지목했다. JAXA는 미국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에도 참여하고 있다.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