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2-08 11:49:07
0 7 0
[사회] 멕시코, 中 제치고 '대미 최대수출국' 등극…中 수출액 20%↓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멕시코, 中 제치고 '대미 최대수출국' 등극…中 수출액 20%↓
내용

입력2024.02.08. 오전 4:27  수정2024.02.08. 오전 4:28

 

中 수출감소는 美中간 긴장 반영한 듯…멕시코는 '니어쇼어링' 효과
 

미국 국경을 넘고 있는 멕시코의 트럭 행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멕시코가 지난해에 중국을 제치고 미국에 가장 많은 상품을 수출한 국가가 됐다.

뉴욕타임스(NYT)는 7일(현지시간) 미국 통계국을 인용해 지난해 미국의 국가별 상품수입액 기준으로 멕시코가 중국을 추월해 1위 자리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멕시코의 미국 수출액이 중국을 넘어선 것은 20년 만에 처음이다.

멕시코는 지난해 4천756억 달러(약 631조3천억 원) 상당의 상품을 미국에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국의 대미수출액은 전년도에 비해 20%가량 감소한 4천272억 달러(약 567조1천억 원)로 집계됐다.

NYT는 중국의 대미수출액이 1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상품에 대한 미국의 수요가 급감한 것은 양국 사이의 긴장감 고조라는 정치적인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세계무역기구(WTO) 소속 경제학자 스텔라 루비노바는 "국제정치가 교역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시기도 있었지만, 최근 세계정세의 불안이 이어지면서 각국 간 교역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재계는 자동차 부품이나 의류, 장난감 등 각종 공산품의 조달처를 중국이 아닌 멕시코나 유럽, 한국, 인도, 캐나다, 베트남 등으로 다변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멕시코는 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이 타격을 받은 이후 생산기지를 주변 국가로 옮기는 '니어쇼어링'의 혜택을 받았다는 평가다.

글로벌 물류 파동 당시 문제가 된 컨테이너에 의존할 필요 없이 육로로 상품을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멕시코는 물류 면에서 미국 국내와 큰 차이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미국·캐나다 간 자유무역협정(USMCA)도 멕시코의 수출 증가에 공헌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인센티브가 멕시코에 공장을 둔 업체에도 부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북미 국가의 4분의 1 내지 5분의 1 수준인 멕시코의 임금 수준, 저렴한 토지 가격 등도 멕시코의 생산과 수출을 늘린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해 한국의 대미수출액은 전년보다 다소 증가한 1천162억 달러(약 154조2천억 원)로 집계됐다.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 독일, 일본에 이어 6위 자리를 유지했다. 

koman@yna.co.kr
 

고일환(koman@yna.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6-19
편집인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