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6-04 11:16:16
0 1 0
[사회] ‘톈안먼’ 삼엄한 경계에… 시민 “6·4 사태 모른다”
글쓴이 편집인 글잠금 0
제목 ‘톈안먼’ 삼엄한 경계에… 시민 “6·4 사태 모른다”
내용

 

입력2024.06.03. 오전 11:48

 

 

 

침묵의 광장 톈안먼 사태 35주기를 앞둔 지난 2일 경계가 한층 강화된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 앞을 시민과 차량들이 지나가고 있다.

유가족 언론 인터뷰 금지령

포털 바이두서도 검색 안돼

대륙내 ‘6·4’ 흔적 지워져

6월 4일을 5월 35일로 불러

 

 

글·사진=베이징 박세희 특파원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해 수많은 사상자를 냈던 중국 톈안먼(天安門) 사태 35주기(4일)를 앞두고 중국 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당국은 톈안먼 광장 경계를 강화함과 동시에 희생자 유가족 모임에 언론 인터뷰 금지령을 내렸다. 온라인상에서 톈안먼 사태 관련 언급은 엄격히 검열되며, 반체제 인사들은 가택 연금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내 ‘6·4’ 관련 흔적을 철저히 지우는 모양새다.

톈안먼 사태 35주기를 이틀 앞둔 지난 2일 찾은 베이징(北京) 톈안먼 광장은 외신 기자의 광장 출입이 제한된 속에 긴장감이 역력했다. 곳곳에 배치된 공안들은 미리 광장 출입 신청을 하지 않은 이들을 막아 세웠고 군인들은 수시로 광장 안팎을 순찰했다. 광장 인근에서 만난 중국인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보여주듯 톈안먼 사태에 대해 모른다거나 잊힌 일로 치부했다. 40대 중국인 남성은 “그 일은 예전 일이다. 지금은 중국이 발전했으며 사람들은 매우 단결돼 있다”고 말했다. 50대 남성, 20대 여성 중국인에게선 “모른다”는 답만 돌아왔다.

 

 

중국에서 톈안먼 사태는 물론 6월 4일 자체가 금기어다.

 

톈안먼 광장에서 벌어졌던 학생과 시민들의 민주화 시위에 대한 무력 진압이 이뤄졌던 6월 4일은 중국에서는 5월 35일로 바꿔 불린다. 중국의 검색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百度)에 ‘톈안먼 사태’ ‘톈안먼 6·4’ 등을 검색하면 “관련 결과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만 뜬다. 최근 바이두에 올라온 톈안먼 관련 영상들은 모두 ‘톈안먼 광장의 위풍당당한 모습’ ‘오성홍기 게양식 전 과정 풀영상’ 등 애국 콘텐츠뿐이다. 최근 X엔 택시 한 대가 톈안먼 광장 난간을 들이박은 채 멈춰 있는 영상이 올라왔는데, 이 역시 중국 매체에선 찾기 힘들다. 중국 당국은 35주기를 앞두고 시위 희생자 유가족 모임인 ‘톈안먼 어머니회’에 언론 인터뷰 금지령을 내렸다. 이들은 최근 공개서한을 통해 진상 규명과 배상 등을 요구하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대화를 거듭 호소했지만 관련 뉴스는 중국 매체에서 전혀 볼 수 없다.

 

35주기가 가까워지며 인권 변호사 등 민주화 인사들에 대한 공안의 감시 수위도 높아졌다. 대만 매체 쯔유스바오(自由時報)는 베이징에 사는 중국의 반체제·민주화 인사 10여 명이 가택 연금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 중에는 톈안먼 사태 당시 이를 보도했던 원로 반체제 여성 언론인 가오위(高瑜)도 포함됐다. 가오위는 1989년 4월부터 톈안먼 시위를 보도하다 같은 해 6월 3일 체포돼 15개월 동안 복역했고 이후 1993년, 2014년에도 국가기밀 누설죄 등으로 체포돼 복역했다.

 

출처: 문화일보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