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3-10-02 11:42:42
0 7 0
[생활/문화] 수면장애 진료 연인원 110만 명 넘었다…50대 이상 70% 차지
내용

 

입력2023.10.01. 오후 5:32  수정2023.10.01. 오후 5:35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최근 5년간 수면장애·비기질성 수면장애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잠 못 드는 사람은 2018년 91만 606명, 2019년 99만 8,795명에 이어 2020년 103만 7,279명으로 100만 명을 넘었습니다.

이어 2021년 109만 8,980명으로 늘었고, 2022년에는 116만3,073명으로 처음으로 11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26만 6,925명(22.9%), 50대 21만 8,627명(18.7%), 70대 19만 6,058명(16.8%), 40대 16만 3,467명(14%), 80대 이상 13만 2,526명(11.3%), 30대 10만 9,944명(9.4%), 20대 6만 4,788명(5.5%), 10대 8,623명(0.7%), 10세 미만 2,115명(0.18%) 등의 순이었습니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81만 4,136명으로 전체 인원의 약 70%를 차지했습니다.

수면장애 치료에 들어간 진료비는 2018년 1,526억에서 2022년 2,852억으로 약 1,326억이 늘어 약 87% 증가했습니다.

수면장애(G47)는 비기질성 수면장애(F51)와 관련된 영역(비기질성 수면장애, 악몽, 수면 야경증, 몽유병)을 제외한 신경계·척수 부위와 관련된 불면증, 과다수면장애 등을 말합니다.

의료계에 따르면 불면증은 충분히 잘 기회와 시간이 있는 데도 잠들기 힘들거나 자꾸 깨거나 혹은 두 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서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길 때를 말합니다.

불면증은 스트레스나 걱정 등으로 인해 누구에게나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을 치료하려면 무엇보다 잠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정 수면 시간이라는 건 사람마다 다릅니다. 몇 시간 이상을 반드시 자야 한다고 생각하다 보면 불면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유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람마다 잠이 짧을 수도, 길 수도 있기에 잠에 너무 집착하면 안 된다"며 "낮은 낮답게, 밤은 밤답게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을 영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 낮에는 햇빛을 보고 활동하면서 생활하다가 저녁에는 차츰 이완의 단계로 접어들며 잠들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교수는 "잠이 들기 힘들거나 중간에 많이 깨거나 새벽에 너무 일찍 깨거나 하는 증상이 일주일에 세 번 이상, 3개월 이상 지속해 일상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런데도 나아지지 않아 수면 습관을 교정하게 되면 초기에는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면제 없이도 잠들 수 있게 비약물적 치료에 집중해야 합니다. 수면제를 계속 복용하면 약이 없으면 스스로는 잠들 수 없을 것 같은 '심리적 의존'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비약물적 치료를 해야만 약물 복용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김한나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hanna2402@naver.com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