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3-10-09 09:42:21
0 2 0
[생활/문화] 100년만에 복원된 광화문 월대, 15일 공개
내용

 

입력2023.10.08. 오후 5:01

 

검은 바탕 금색 글자 새 현판에
이건희 회장 유족이 기증한
월대 장식 서수상 2점 선보여

 

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에 월대 복원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다. 문화재청은 15일 광화문 월대 복원 기념식을 연다. 이충우기자

지난해 9월부터 발굴 조사를 시작했던 서울 광화문 월대가 오는 15일 저녁 준공식을 열고 100년 만에 일반에 공개된다. 문화재청은 최근 광화문 월대 복원 기념 포럼을 열고 "이달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앞 광장에서 광화문 월대 및 현판 복원 기념식을 연다"고 밝혔다. 시민 500여 명도 참여할 예정이다.

월대는 경복궁 근정전, 덕수궁 대한문 등 주요 건물에 계단식으로 넓게 설치한 대를 일컫는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 월대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임금과 백성이 만나 소통하는 장소였다. 중국 사신을 맞이할 때 베푸는 각종 연회나 광화문 육조거리에서 과거시험을 치를 때 왕이 나와서 지켜보던 장소로도 추정된다.

월대는 세종 당시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소실되면서 없어졌다가 1867년 경복궁 중건 당시 광화문과 함께 다시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1923년 조선부업박람회 준비 과정에서 광화문 앞에 전차선로를 개설하면서 일제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월대의 어도(임금이 다니는 길) 가장 앞부분을 장식하던 서수상(瑞獸像·상상 속 상서로운 동물상) 2점도 100년 만에 같이 공개된다. 지난 8월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이 생전 소장하던 유물을 유족 측이 기증해 화제가 됐던 동물 조각이다.

월대 복원 시점은 경복궁 복원과 마찬가지로 고종연간으로 설정했다. 홍승재 문화재위원회 산하 궁능분과위원장은 "월대와 광화문은 하나의 세트로 완전체"라면서 "월대 복원으로 그동안 단절됐던 광화문과 육조거리를 연결함으로써 한양 도성의 중심축을 회복했으며 온 국민이 자긍심을 느끼는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15일 행사에서는 검은 바탕에 금색 글자로 된 광화문 현판도 새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향휘 선임기자]
 

이향휘 선임기자(scent200@mk.co.kr)

기자 프로필

스크랩 0
편집인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