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3-10-19 07:13:19
0 3 0
[생활/문화] 서울 지하철 노조, 11월9일 총파업… MZ세대 노조는 파업 미동참
내용

 

입력2023.10.18. 오전 11:22  수정2023.10.18. 오후 4:0

 

서울교통공사 양대 노조 연합 교섭단과 조합원들이 18일 서울시청 앞에서 파업 찬반 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 방침 공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사측의 인력 감축 계획 철회를 요구하면서 다음달 9일 총파업에 들어간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파업에 돌입하는 것이다.
 
18일 오전 서울교통공사노조 연합교섭단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파업 일정과 향후일정을 밝혔다.
 
이양섭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 위원장은 “재정적자의 주요 원인은 무임 수송 손실과 버스 환승할인, 조조할인, 정기권 할인 그리고 수송 원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운임”이라며 “15분 이내 재승차와 기후동행카드 등은 서울교통공사 재정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용 시민의 안전보장을 위한 안전 인력과 안전시설이 확충돼야 한다”며 “정부와 서울시의 교통복지 정책의 비용은 시민과 운영 주체인 서울교통공사에 떠넘기는 것이 아닌 정부와 서울시가 부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명순필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코레일을 포함해 전국 지하철 운영기관 어디도 코로나와 요금 인상을 이유로 수천명대 대규모 인력 감축을 추진하지 않는다”며 “그럴 경우 시민과 지하철의 안전, 시민을 향한 서비스가 영속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서울시와 오세훈 서울시장은 ‘강제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두 번의 합의를 무시하고 있다”며 “2022년 하반기 채용을 하자는 노사 간에 체결한 합의도 위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정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작년 이태원 참사를 겪고도 서울시는 서울시민과 노동자의 생명보다 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냐”라며 “오세훈 시장은 2021년과 2022년 노사 합의를 통해 강제적 구조조정은 하지 않겠다고 두 번이나 합의해놓고 그 합의조차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서울시의 인력감축과 구조조정안은 결국 시민과 노동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공공서비스 질을 저하할 것”이라며 “인력감축과 외주화를 중단하고 올해 최소한의 안전 인력인 771명을 채용하지 않는다면, 서울교통공사의 파업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노조는 지난 12∼16일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73.4%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파업 시 평일 운행률은 노선에 따라 53.5%(1호선)에서 79.8%(5∼8호선)까지 유지된다. 공휴일 운행률은 1∼8호선 모두 50%다.
 
한편 ‘MZ세대’가 주축으로 알려진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는 파업에 동참하지 않을 방침이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기자 프로필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