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1-31 12:57:51
0 7 0
[생활/문화] 1000만 탈모인 시대…머리감기 방법만 바꿔도 효과 있다는데
내용

입력2024.01.31. 오전 11:01

 

남성 원형 탈모 모습. [사진출처=서울아산병원]“탈모 걱정되는 40대 이상이라면 매일 머리 감지 마세요”

탈모가 남녀노소를 뛰어넘는 골칫거리가 되는 가운데 한 피부과 전문의가 두피 건강과 탈모 예방에 관한 조언을 내놨다. 40대 이상은 매일 머리를 감는 대신 주 3~4회 미지근한 물로 머리 감기가 효과적이며, 검은콩 등 항산화 식단을 실천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권오상 서울대 의대 피부과 교수는 30일 YTN 뉴스라이더 인터뷰에서 “생활 습관이라든지 두피의 피지 정도에 따라 관계가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40대 이상에서는 두피가 상당히 건조하기에 일주일에 3~4번 정도 머리를 감으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건조한 건 두피에 좋지 않기 때문에 나이 드신 분들은 일주일에 3~4회 정도 머리 감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며 “너무 잦은 머리 감기는 두피 건강을 해쳐 탈모를 촉진한다”고 말했다.

머리를 감는 물의 온도도 중요하다. 권 교수는 “찬물로 머리를 감게 되면 모낭을 자극하는 효과는 확실히 있다”면서도 “두피를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찬물로 머리를 감게 되면 피지나 기름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조금 떨어지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 정도로 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한 모낭에서 평생 나올 수 있는 머리카락 개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뽑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고가의 탈모 예방 샴푸 등이 인기를 끄는 열풍에 대해서는 보조 제품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권 교수는 “실제로 좋은 성분들도 우리가 머리 감을 때 거품 낸 다음에 바로 씻어내지 않나”라며 “아무리 유효한 좋은 성분이라고 하더라도 그게 다 씻겨나간다. 안 쓰는 것보다 좋기는 한데 그게 약만큼 효과가 있지는 않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사용하면 충분하다”고 밝혔다.

대한탈모치료학회에 따르면 국내 탈모 인구는 약 1000만명으로, 그중 20~30대가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병원 진료를 받은 국내 탈모 환자는 24만3609명이다. 탈모 질환자 연령을 보면 30대(22.6%), 40대(21.7%), 20대(20.0%), 50대(16.5%) 순이다.
 

이윤재 기자(yjlee@mk.co.kr)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