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연구원이 모기 분류작업 시연을 하고 있다. 2024.4.2 연합뉴스40년 이상 모기를 연구해 ‘국민 모기 박사’로 불리는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가 모기에 잘 물리는 원인이 대사물질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23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모기를 둘러싼 속설에 대해 “맞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다”고 답변했다. 사회자가 “맥주 마신 사람, 임신부, O형을 더 잘 문다는 속설이 있다”고 물은 것에 대한 답변이었다.
이 교수는 “술을 많이 먹으면 대사작용으로 다 분해를 시켜 몸에서 대사물질들이 많이 나온다”면서 “그래서 냄새를 맡고 사람을 찾아오기 때문에 술 마시는 사람들한테 더 많이 간다”고 말했다. 임신부 역시 마찬가지. 이 교수는 “아기를 가지고 있으니까 대사활동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많기 때문에 몸에서 분비물을 많이 낸다. 그래서 냄새 맡고 잘 찾아온다”고 답했다.
다만 모기가 O형을 선호한다는 속설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혈액형하고 관계가 없다. 모기들이 밖에서 O형을 알 수도 없다”면서 “단지 O형인 분들 중에 활동성이 많은 분들은 땀을 많이 내기 때문에 그런 인자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기는 평균적으로 기온이 13도 이상이면 비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론상으로는 봄에도 얼마든지 모기가 나올 수 있다. 최근 봄모기가 등장하는 것과 관련해 이 교수는 모기들의 출현이 우리나라에서 유독 더 빨라졌다고 언급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기후가 전 세계 평균 기온보다 좀 더 높은 현상을 보이기 때문”이라며 “미국의 경우는 40년 정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40일 정도 빨라졌는데 우리는 20년 사이에 50일 이상 빨라졌으니까 조기 출현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빠른 편”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이 교수는 모기 퇴치 비법을 전했다. 그는 “낮에 공격하는 모기들이 있다. 긴팔 긴바지 입지 않으면 주로 숲속이나 공원 같은 데서 자기도 모르게 많이 물린다”면서 “의복 착용과 노출 피부에는 기피제를 바르시고 집안에 모기가 많이 들어온다고 한다면 가장 많이 들어오는 데가 방충틀인데 방충틀에 솔기가 딱 맞아야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