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6-25 14:08:04
0 0 0
[생활/문화] 태국·필리핀 유명인, 인천 총집결…한국인 1만명 푹 빠졌다는데
내용

 

입력2024.06.25. 오전 7:45

 

태국·인니·필리핀·대만 등
아시아 유명 가수들 몰려와
국내 젊은세대 편견 없어
음악 시장 다양성 확대

 

지난 16일 강원 철원 고석정에서 열린 2024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에서 첫 내한 공연을 펼친 대만 싱어송라이터 9m88(조앤바바). 사진제공=피스트레인

 

 

K팝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한국 음악 무대에 아시안팝이 새 장을 펼치고 있다. 아이돌 해외 투어나 영미권 팝스타의 내한 외에도,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등 다양한 아시아 음악이 각종 여름 공연을 후끈 달아오르게 하면서다.

지난 22~23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린 ‘아시안 팝 페스티벌 2024’엔 한국 외에도 일본, 중화권(중국·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50여 팀의 가수가 무대에 올라 1만여 관객과 호흡했다. 총 4개의 공연장에서 시간대별로 각자 1시간 내외의 무대를 이끌어가는 형식이다.

22일 이 축제를 통해 첫 내한한 인도네시아 싱어송라이터 이시야나 사라스바티는 영어와 서툰 한국말을 섞어가며 “안녕하세요, 인도네시아에서 왔습니다” “재밌게 놀아요”라고 외쳤다. 그 외의 소통은 오직 음악이었지만 관객들을 열광시키기엔 충분했다. 이시야나는 영어로 된 곡뿐 아니라 인도네시아어로 된 곡도 불렀는데, 관객들은 낯선 언어에도 자리를 지키며 음악을 받아들이고 호응했다.

이시야나는 한국에선 인지도가 낮을지언정 2020년 포브스 선정 ‘30 언더 30 아시아’(30세 미만 영향력 있는 각 분야 리더 30인)에 오르는 등 현지에선 국민가수급 인기를 자랑한다. 이날 이시야나 공연 직후 만난 관객 정은영 씨(30)는 “이번 축제를 계기로 알게 된 가수고 인도네시아 팝도 처음 듣는다”면서도 “공연을 너무 잘해서 다른 곡도 궁금해졌다”고 말했다.

 

아시안 팝 페스티벌 2024

 

올해 첫 회를 개최한 이 축제는 서울 홍대에서 인디 음악 축제 ‘라이브클럽데이’와 ‘아시안 팝 스테이지’ 등을 선보여온 박정용 APF 컴퍼니 대표가 김대우 공동대표 등과 기획했다. 그간의 국내 여름철 록페스티벌 대다수가 영미권 록스타를 섭외해 관객몰이한 것과는 달리 아시아 가수로만 채운 차별화된 라인업으로 주목받았다. 이시야나 외에도 대만의 유명 밴드 노 파티 포 차오동, 필리핀 싱어송라이터 에나 모리, 태국 인디밴드 키키 등이 관객과 만났다.

 

앞서 지난 15~16일 강원 철원 고석정에서 열린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에도 아시아권 가수가 소개됐다. 대만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조앤바바(9m88)가 처음 내한한 것이다. 그는 영어·중국어로 된 노래는 물론, BTS RM의 지난달 발표곡 ‘컴백 투 미’를 편곡해 불렀다.

 

 

이밖에도 다음달 28일 ‘해브 어 나이스 트립 2024’엔 영국 음악전문지 NME가 ‘이머징 아티스트’로 꼽은 인도네시아의 인디 팝 밴드 걸 갱(Grrrl Gang)이, 8월 3일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엔 말레이시아 출신 사이키델릭 록 밴드 골든 매머드(Golden Mammoth)가 초청돼 다채로운 아시아 음악을 선보인다.

 

그간 동남아 음악 시장은 주로 K팝의 수출·소비국으로 인식되는 일이 많았지만, 아시아권 음악 교류는 이미 십수년 전부터 활발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박정용 대표는 “아직 우리나라 대중에게 아시안팝이 익숙하지 않지만 과거에 비해 음악을 듣는 젊은 세대가 인도네시아든 태국이든 영국·미국이든 듣는 음악을 차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이번 축제로 시장 확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아시아’라는 키워드로 교류해나간다면 우리 음악 시장의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도 커질 테고, 한국의 밴드가 아시아로 초청되는 일도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규 1·2집 모두 호평 받으며 아시안팝페스티벌 2024에 참여한 태국 밴드 키키와 열광하는 관객들. 사진제공=파라다이스문화재단음악을 틱톡·스포티파이 등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듣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다른 문화권 음악을 수용하는 분위기도 생겼다. DMZ 피스트레인의 이수정 예술감독은 “전에는 초청 아티스트의 지역성, 국제 교류의 의미 자체가 부각됐다면 요즘 관객들은 국적을 따지지 않고 아티스트의 역량을 먼저 보더라”며 “오히려 해당 아티스트를 통해 그 국가의 문화를 접하고, 그 지역의 다른 가수까지 파고드는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듣는 음악을 넘어 공연 시장이 커질 가능성도 주목된다. 실제로 페스티벌을 통해 한국 관객에게 소개되고 입소문을 타면 단독 내한 공연을 열기도 한다. 아시안 팝 페스티벌에 참여한 두세 팀도 올해와 내년 중 내한 콘서트를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낮은 인지도 등은 극복 과제다. 실제로 지난 3월 월드 투어의 일환으로 내한 예정이던 한 아시안 록 밴드는 저조한 티켓 판매로 국내 공연을 취소하기도 했다. 한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대만·태국 등 특색 있는 밴드에 대한 공연 수요가 있지만 국내에선 언어의 장벽 탓인지 대중성이 떨어져 아직까진 활발히 공연을 열기 힘든 면이 있다”고 전했다.
 

 

 

정주원 기자(jnwn@mk.co.kr)

편집인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