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6-27 12:33:57
0 0 0
[생활/문화] “미국 한인교회가 ‘다문화교회’로 변한다고?”
내용

 

입력2024.06.27. 오전 11:27

 

이민자 급감, 영어 사용하는 2·3세대 교체 등 위기 요인
“장기적으로 모두를 품는 다문화 교회로 가야 한다”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미국 동부에 한인들이 처음 세운 뉴욕한인교회에서 2021년 열린 100주년 기념행사에서 태극기를 들고 있다. 국민일보DB

한인들의 미국 이민 역사가 121주년이 됐다. 그 중심에 오랜 세월 한인교회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한인교회를 둘러싼 위기 요인이 하나둘 늘면서 대대적인 체질 개선 요구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자 급감, 최대 위기


가장 큰 변화는 이민자 감소다. 미국으로 이민하는 한인들의 수가 줄다보니 교회로 유입될만한 새 교인도 동반 하락하는 셈이다.

뉴욕대 로스쿨 이민정책연구소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한국 태생 미국 전체 이민자 수는 1980년대 이후 꾸준히 늘었지만 2010년 110만명으로 고점을 찍은 뒤 2019년 103만9000명으로 내려앉았다. 이후 쉽게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영주권 취득자도 코로나19 전과 비교해 감소세다.

코로나 이전에는 한해 평균 2만5000명 남짓한 한인들이 미국 영주권을 취득했지만 코로나와 이민 제한 여파까지 겹치면서 2020~2021년엔 각각 1만6000명과 1만2000여명이 영주권을 취득하며 해마다 줄고 있다.

 


교회요? SNS가 편해요


이민자들의 교회 의존도마저 떨어지고 있다.

80~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에 잠시 주재원으로 오더라도 생활 정보를 얻고 인맥을 만들기 위해선 교회가 유일무이한 공간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카페나 SNS의 확산으로 굳이 교회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필요한 것들을 얻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리면서 교회를 등지고 있다.

교회 내부의 고민도 적지 않다.

한인교회 부흥을 이끌었던 1세대 교인들이 빠르게 줄고 2·3세로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는데 나이뿐 아니고 사용하는 언어가 ‘한국어→영어’로 바뀌고 있다. 언어 문제로 세대간 단절이 가속화하는 것이다.

박규완 미국장로교(PCUSA) 중서부한미노회 노회장은 지난 10일 PCUSA 중서부한미노회 100회 정기노회 현장에서 기자와 만나 “최근들어 확연히 이민자가 줄고 있고 특히 우리교회가 있는 시카고는 유입 인구가 다른 도시에 비해 더 낮다”면서 “대부분 한인교회 평균나이가 60대 후반으로 고령화되는데 그나마 있는 젊은 세대는 영어를 사용하다보니 세대 간 격차도 크다”고 우려했다.

박 노회장은 “코로나 때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진 교인들이 굳이 교회에 나오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도 일부 있다”면서 “결국 한인교회가 더욱 교민사회 속으로 들어가 함께 호흡하고 다문화 교인을 품어야 미래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코로나를 기점으로 한인교회들은 ‘3500개 교회 선’도 무너졌다.

미국 기독교 비영리재단인 ‘재미한인기독교선교재단(KCMUSA)’이 2022년 펴낸 ‘2021 미주 한인교회 센서스’에 따르면 미국 한인교회는 2798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조사에서 3514개인 것과 비교해 658개가 줄어든 수치다.

 

미국 시카고 올네이션스교회 교인들이 최근 주민을 대상으로 미용 봉사를 하는 모습. 이 교회는 16개국 교인이 모이는 다문화교회다. 올네이션스교회 제공

 


‘다문화교회’, 정해진 미래


미국 한인교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다문화교회’로 향하고 있었다.

최근 방한했던 권준 미국장로교(PCUSA) 한인교회전국총회(NCKPC) 총회장은 “20년 안에 적지 않은 한인교회가 영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교회가 될 가능성이 크고 장기적으로 다민족교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전망했다.

동석한 조문길 PCUSA 총회 본부 한인교회 책임자도 “한인들만의 공동체로 남아서는 미래가 불투명하다”면서 “한인교회의 오랜 문법을 고수해서는 미래가 없고 보수적 정서를 유지하면서도 모두를 품겠다는 진보적 마인드로 교회를 오픈해야 확장성이 있다”고 말했다.

 

 

장창일 기자(jangci@kmib.co.kr)

 

편집인202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