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3-06-30 09:15:10
0 2 0
[정치] 與, 尹 '반국가세력' 발언 옹호 "팩트에 근거…충신이라 하겠나"
내용

 

입력2023.06.29. 오후 5:47   수정2023.06.29. 오후 6:23

 

김기현 "민주당 반발 이해 안돼…대한민국 정체성 부정세력은 협치 대상 아냐"
홍준표 "文정부 5년, 얼마나 많은 무장해제 했나…국가안보에 위해 끼쳤으면 반국가세력"

 

국민의힘 지도부와 입장하는 윤석열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한국자유총연맹 창립 제69주년 기념식에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윤재옥 원내대표와 함께 입장하고 있다. 2023.6.28 kane@yna.co.kr


(서울·평택=연합뉴스) 차지연 안채원 곽민서 기자 = 국민의힘은 29일 윤석열 대통령이 '반국가세력'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 문재인 정부 대북 정책을 겨냥한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이 반발하는 것과 관련, '팩트에 근거한 발언'이라며 옹호하고 나섰다.

김기현 대표는 이날 경기 평택에서 제2연평해전 승전 21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뒤 기자들에게 "대통령이 한 발언은 정확한 팩트에 근거한 것이기에 더불어민주당이 거기에 대해 반발한다는 것 자체를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종잇조각에 불과한 종전선언 하나 가지고 대한민국에 평화가 온다고 외친다면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을 재차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이 윤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협치와 거리가 멀다'고 비판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정체성을 부정하고 대한민국을 적의 손아귀에 놀아나게 하는 세력이 있다면, 그것은 협치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전날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한국자유총연맹 제69주년 창립기념행사 축사에서 "왜곡된 역사의식, 무책임한 국가관을 가진 반국가 세력들은 핵무장을 고도화하는 북한 공산집단에 대해 유엔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제재를 풀어달라고 읍소하고, 유엔사를 해체하는 종전선언을 노래 부르고 다녔다"고 비판했다.

문재인 정부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완화·해제를 주장하며 평화협정의 출발점으로 종전선언을 제안했던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조직적·지속적으로 허위 선동과 조작, 가짜뉴스와 괴담으로 자유 대한민국을 흔들고 위협하는 분들을 뭐라고 불러야 하느냐"며 "충신이라고 하겠느냐, 애국자라고 하겠느냐"고 꼬집었다.

신주호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주당이 이토록 발끈하는 것은 도둑이 제 발 저린 것"이라며 "문재인 정권의 외교·안보 정책이 총체적으로 실패했음을 자인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비난했다.
 

묵념하는 김기현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29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승전 21주년 기념행사'에서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묵념하고 있다. 2023.6.29 [공동취재] xanadu@yna.co.kr


3성 장군 출신이자 국회 국방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신원식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5년 내내 북한이나 중국의 눈치를 보는 것보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게 (추구해야 할) 모든 가치가 돼야 하는데, 그 우선순위의 헌법적 의무에 대해 문재인 전 대통령이 굉장히 미흡했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에 가서 스스로 소국이라 낮추고, 세계지배전략인 중국몽을 지지한다고 하고, 스스로 중국이 요구하는 삼불정책으로 군사주권을 포기했으면 반국가세력 아니냐"고 말했다.

홍 시장은 "그걸 얘기하면 왜 극우세력이냐. 국가안보에 위해를 끼쳤으면 반국가세력이 맞다"며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남북 군사합의로 얼마나 많은 무장 해제를 했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 발언은) 국가안보를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말이지, 거기에 꼬투리 잡을 게 없다"며 "자신들이 반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arge@yna.co.kr
 

차지연(charge@yna.co.kr)곽민서(mskwak@yna.co.kr)안채원(chaewon@yna.co.kr)

기자 프로필

스크랩 0
편집인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