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6-04 11:28:35
0 1 0
[정치] 중국·호주 관계 또 삐걱? "중국 투자자, 희토류 광산 지분 팔라"
글쓴이 편집인 글잠금 0
제목 중국·호주 관계 또 삐걱? "중국 투자자, 희토류 광산 지분 팔라"
내용

 

입력2024.06.04. 오전 11:15 

 

 

호주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중국 관련 투자자들에게 자국 희토류 광산업체 노던 미네랄(Northern Minerals)의 지분을 매각할 것을 명령했다. 최근 중국의 호주산 쇠고기 수입금지 해제 등으로 개선 조짐을 보였던 양국 관계가 전기차 생산 등에 필요한 핵심 광물 '희토류'를 두고 다시 흔들릴 가능성도 있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왼쪽)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3년 11월 6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호주 재무부 대변인은 짐 찰머스 재무장관이 중국과 관련된 일부 투자자들에게 노던 미네랄 주식 처분을 명령했다고 밝혔다. 재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재무부는 중국 위샤오(Yuxiao) 펀드와 4명의 관계자에게 노던 미네랄의 지분을 축소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며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FIRB)의 조언에 따른 이번 결정은 우리의 국익을 보호하고, 외국인 투자 프레임워크를 준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찰머스 장관이 전날 발행한 처분 명령에 따르면 중국 위샤오 펀드는 지난해 9월 취득한 노던 미네랄 주식 8000만주를 60일 이내에 매각해야 한다. 이는 노던 미네랄 발행 주식의 약 10.4%에 해당하는 규모다. 주식 매각 명령을 받은 다른 외국인 주주에는 블랙스톤 리소스도 포함됐다. 노던 미네랄은 서호주에서 브라운스레인지(Browns Range) 희토류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다.

위샤오펀드는 중국 국적의 우위샤오(WuYuXiao)가 싱가포르에 등록한 개인 투자기구다. 지난 2022년에는 노던 미네랄 지분을 9.81%에서 19.9%로 늘리기 위해 FIRB의 승인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호주 정부가 지난해 외국인 투자법을 근거로 이를 거부해 위샤오펀드의 지분율 확대는 제한됐다. 노던 미네랄 측은 위샤오펀드가 중국 본토에 본사를 둔 지난(Jinan)위샤오 그룹의 회장인 우위샤오가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호주 희토류 광산업체 노던미네랄의 브라운스 광산 단지 /사진=노던미네랄

 

로이터에 따르면 아담 핸들리 노던 미네랄 회장은 지난해 10월 FIRB에 자사 주식 관련 특정 매입 활동에 대한 조사를 의뢰했다고 한다. 핸들리 회장은 "회사는 모든 주주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고 회사 주식 등록부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높은 수준의 좋은 지배 구조를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FIRB에 관련 조사를 의뢰한 배경을 설명했다.

호주는 최근 핵심 광물을 포함해 국가 안보와 관련이 있는 주요 부문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찰머스 장관은 호주의 외국인 투자 제도는 어떤 국가도 차별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지만, 호주는 최근 중국과 관련된 일부 투자 및 거래를 차단했다고 로이터는 짚었다.

로이터는 호주 재무부의 이번 결정이 양국 관계 개선의 성과로 여겨지는 중국의 호주산 쇠고기 수입 금지 해제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의 호주 방문 등을 앞두고 이뤄졌다며 양국 간 갈등이 다시 고조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중국 지난 위샤오그룹 본사 건물 /사진=위샤오그룹 홈페이지

 

양국 관계는 지난 2018년 호주가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 동참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5세대(5G) 이동통신 통신망 사업에서 배제하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2020년에는 호주가 중국을 겨냥해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국제 조사를 요구했다. 이에 중국은 2020년 호주 주요 도축장에서 생산된 쇠고기 수입 금지로 맞대응했고, 2021년 3월부터는 호주산 와인에 최대 21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그러다 지난 2022년 5월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취임 이후 '중국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양국 간 갈등은 점차 해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앨버니지 총리는 지난해 11월 7년 만에 중국을 방문했고, 이에 리 총리는 이달 호주를 답방한다. 중국은 리 총리의 호주 방문을 앞두고 지난해 12월부터 진행한 호주산 쇠고기 수입 금지 추가 해제에 나섰다. 머리 와트 호주 농업부 장관은 중국의 추가 수입 금지 해제에 대해 "중국과의 관계 안정을 위해 우리가 해온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