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3-12-27 09:52:54
0 0 0
[IT/과학] 10·20대 절반 "생성 AI 써봤다"…신뢰도는 '글쎄'
내용

 입력2023.12.27. 오전 8:05  수정2023.12.27. 오전 8:06

 

국내 소비자 10명 중 4명, 생성형 AI 이용 경험
환각 극복 과제…이용자 절반 "가짜 뉴스 걱정"

생성형 AI를 둘러싼 소비자 인식 조사 (메조미디어 제공)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1020세대 10명 중 5명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써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뢰도는 높지 않았다. 

27일 메조미디어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7월 중순 만 15~59세 소비자 1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10대·20대 응답자 중 생성 AI를 사용한 비중은 각각 49%·46%였다. 

다음은 40대(42%)·30대(37%)·50대(36%) 순이다. 전체 세대로 보면 응답자 10명 중 4명은 생성 AI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 대부분 AI 챗봇(채팅 로봇)처럼 대화를 할 수 있고 소설·시를 써주는 텍스트 생성 AI를 사용했다.  

전 세대에 걸쳐 가장 인기있는 생성 AI 챗봇(채팅 로봇)은 오픈 AI '챗GPT'(37%)였다. 그 뒤로는 △구글 '바드'(11%) △마이크로소프트(MS) '빙챗'(10%) △국내 AI 스타트업 뤼튼(2.9%) △토종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 '아숙업'(2.7%) 순으로 높았다. 

AI 챗봇을 쓰는 목적으로 호기심 사용(35%)이 가장 높았고, 빠른 답변 확보(24%)가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의 경우 2명 중 1명이 챗GPT를 써봤다고 답했다. 

반면 생성형 AI 신뢰도는 그리 높지 않은 상태다. 국내 소비자 10명 중 5명(52%)은 응답결과가 정확하지 않아 만족스럽지 않다고 답했다. 거짓 정보를 사실인 것처럼 말하는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 때문이다. 

응답자 10명 중 5명은 가짜 뉴스·정보 생성 문제가 걱정된다고 짚었다. 반면 앞으로 환각 문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목소리가 짙다. AI 챗봇 서비스 결과가 더 정확해질 것이라는 질문에 전체 평균 3.71점(5점 만점)이 나왔다. 

여러 AI 서비스 기업이 챗봇 답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오픈 AI는 인간 트레이너와 챗GPT가 나눈 대화를 기반으로 대중에게 더 선호되는 답변을 하도록 하는 '강화학습'(RLHF)를 도입했다. 구글 '바드'는 이용자에게 2개의 답안을 제시하고, 답변에 출처 정보를 함께 기입하고 있다.

 

오현주 기자 (woobi123@news1.kr)

편집인202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