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3-12-29 11:44:57
0 1 0
[IT/과학] 피 빨려가며 '빈대 퇴치법' 찾았다…외신도 극찬한 한국인
내용

입력2023.12.28. 오후 6:43  수정2023.12.28. 오후 10:41

 

"자기 피 빨려가며 연구 
한국의 '빈대 공주'가 영웅 됐다"

살충제 내성 빈대 퇴치법 찾아낸
김주현 서울대 교수 WSJ서 조명

 

살충제에 내성을 가진 빈대 퇴치법을 찾아낸 김주현 서울대 의대 열대의학교실 교수(사진)의 연구 성과가 미국 유력 언론의 조명을 받으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김 교수는 장기간 흡혈 곤충 연구에 매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흡혈 곤충의 대모(Godmother)가 한국의 빈대 퇴치 전략을 수립했다’란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수십 년 만의 최악 빈대 확산 속에서 김 교수의 연구 성과가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2020년 논문에서 국내에서 발견된 일부 빈대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혀냈다. 최근에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지닌 빈대를 퇴치할 수 있는 대체 살충제 성분 두 가지를 확인해 미국 위생곤충학회지에 발표했다.

김 교수의 연구 결과는 최근 외국에 이어 국내 곳곳에서 빈대가 출몰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다. 김 교수는 환경부의 의뢰를 받아 국내 빈대 퇴치에 가장 효과적인 살충제를 찾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WSJ는 “(김 교수의) 부모님이 처음에는 딸의 선택을 걱정했지만 이제 그 딸은 국가적 영웅이 됐다”고 전했다. 김 교수의 박사과정 지도교수인 이시혁 서울대 응용생물화학부 교수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김 교수가 흡혈 곤충의 대모가 될 운명이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미국에서 박사후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를 계속했다. 미국에서 그를 지도한 존 마셜 클라크 매사추세츠애머스트대 교수는 그를 ‘빈대 공주(bedbugprincess)’라고 부르기도 했다.

김 교수는 연구를 위해 실험실에서 키우는 이나 빈대에게 직접 피를 내주기도 했다. 보통은 적십자로부터 수혈용으로 쓸 수 없는 혈액을 기증받아 흡혈 곤충들의 먹이를 충당하지만 모자랄 때도 있기 때문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스크랩 0
편집인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