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6-04 11:00:30
0 0 0
[IT/과학] '한국어 몰라도 OK'…카카오모빌리티, 외국인 관광객 전용앱 출시
내용

 

입력2024.06.04. 오전 7:53

 

 

앱 내 영어·중국어·일본어 지원
예상요금 확인···자동결제도 가능
부당요금 등 불만사항 적극반영
데이터 축적해 글로벌 진출 발판

 


[서울경제]

카카오(035720)모빌리티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케이라이드’를 출시하며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섰다. 앞서 해외 37개국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웃바운드(한국인의 해외여행) 시장을 공략 중인 카카오모빌리티는 인바운드(외국인의 한국여행) 시장에서 확보한 글로벌 데이터와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해외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 진출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4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외국인들이 국내에서 택시 호출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독자 플랫폼인 케이라이드를 출시했다. 케이라이드는 영어뿐 아니라 중국어와 일본어 등 외국어를 지원한다. 목적지를 외국어로 입력해도 택시 기사는 한국어로 확인할 수 있다. 택시 기사와 채팅을 할 때 100여 개의 언어를 자동번역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결제 편의성도 높였다. 비자와 마스터카드뿐만 아니라 아멕스, JCB 등 신용·직불카드로 자동 결제가 가능해 현금을 낼 필요도 없다. 택시 호출 전 미국 달러, 중국 위안, 일본 엔으로 예상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개별 여행을 선호하는 관광객 비중이 급증하며 이동 플랫폼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방한 외국인 관광객 대상의 교통 편익이 증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케이라이드를 출시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감했다가 빠르게 늘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이용자로 끌어들이는 한편 해외 진출에 대비해 인지도를 높이고 서비스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포석이다. 2019년 1750만 명이던 방한 외국인 관광객은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1년 97만 명까지 감소했다가 지난해 1103만 명으로 회복했다. 정부는 오는 2027년 외국인 관광객 3000만 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다. 이같은 상황에서 경쟁사들도 외국인 대상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3월 국내 택시 호출 플랫폼 서비스명을 ‘우버 택시’로 바꾼 우티의 경우 해외에서 쓰던 우버 앱을 국내에서도 별도 전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늘고 있지만 택시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여전히 많은 상황이어서 케이라이드 서비스에 대한 호응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달 한국관광공사가 발간한 '2023 관광불편신고 종합분석서'에 따르면 지난해 관광공사 관광불편신고센터에 접수된 불편 사항 902건 중 택시 관련이 170건으로, 전체의 18.8%를 차지해 두번째로 많았다. 택시 관련 신고 중에서는 '부당요금 징수 및 미터기 사용 거부'가 66.5%로 가장 많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같은 불편 사항들을 신규 앱을 통해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케이라이드를 통해 외국인 관련 데이터와 서비스 노하우를 축적하면서 해외 서비스 확장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2018년 일본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영국 모빌리티 중개 플랫폼 기업인 스플리트를 인수하는 등 해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현재 미국·영국·프랑스·일본·베트남·태국·카타르 등 37개국에서 카카오T 앱을 이용해 차량 호출이 가능하다. 괌에서는 인프라를 직접 구축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지난달 23일부터 해외에서 택시를 부를 때 받는 이용료도 인하했다. 기존에 2000~4000원대였던 이용료 체계를 0~3000원 수준으로 개편하며 이용자 유치에 나섰다. 앞서 지난해 10월 위챗과 알리페이, 시트립 앱 이용자가 국내 택시를 부를 수 있도록 연동한 카카오모빌리티는 외국인이 케이라이드를 다른 국가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김성태 기자(kim@sedaily.com)

 

편집인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