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해외소식2023-06-26 11:53:47
0 12 0
바그너 그룹 '반란'에 푸틴 리더십 타격… '신냉전'도 영향?
내용

 

입력2023.06.25. 오후 2:49   수정2023.06.26. 오전 9:05

 

"북·중, 러시아 상황 반면교사 삼아 내부 단속·통제 강화할 듯"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용병 조직 '바그너 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 ⓒ AFP=뉴스1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러시아 용병 조직 '바그너 그룹'의 '반란'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리더십이 크게 흔들리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과 중국·러시아 등 권위주의 국가들 간의 이른바 '신냉전' 구도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단 관측이 제기된다.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이끄는 바그너 그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러시아 정규군이 자신들을 향해 대규모 포격을 실시했다는 이유로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에 바그너 그룹은 하루 뒤 수도 모스크바로부터 약 200㎞ 거리까지 진격하기도 했지만, 러시아의 주요 동맹국인 벨라루스의 중재 아래 철수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단 바그너 그룹의 이번 무장 반란은 '일일천하'에 그친 것으로 보이지만, 푸틴 대통령을 비롯한 러시아 최고위층은 그 과정에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냈단 게 국내외 전문가들의 중평이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이번 바그너 그룹 사태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은 푸틴 대통령이 그간 믿고 의지했던 프리고진이 반기를 들었다는 것"이라며 이는 북한·중국 등 다른 권위주의 국가들에도 상당한 시사점이 있다고 전했다.

바그너 그룹은 그간 '푸틴의 사냥개'라고 불릴 정도로 푸틴 대통령의 신임을 받아왔다. 이들은 지난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름반도 병합뿐만 아니라 작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도 최전선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키우던 사냥개가 주인 목을 문' 격의 이번 바그너 그룹 사태로 푸틴 대통령 입장에선 우크라이나 침공보다 '집안 단속'이 최우선 과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문 센터장은 북한이나 중국도 이 같은 러시아 내 상황을 주시하고 있을 것으로 봤다.
 

한미일 대 북중러.ⓒ News1 DB

그간 북한은 핵·미사일 개발과 연이은 도발 위협을 통해 미국과 '강 대(對) 강' 대치를 이어왔고, 중국 당국 또한 미국과 전 방위 패권 경쟁을 벌이면서 그간 국제사회에선 북한·중국·러시아가 서로의 입장을 대변해주면서 밀착하는 행보가 두드러졌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재개한 작년 이후 중국·러시아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해 북한의 도발에 따른 안보리 차원의 공동 대응 논의에 계속 제동을 걸어온 사실이 대표적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3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중러 정상회담 땐 "북한의 합리적 우려에 호응해야 한다"며 북한의 도발 책임이 미국에 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문 센터장은 이번 바그너 그룹 사태와 관련,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지금 가장 두려워하고 힘들어하는 게 내부 반발과 단속"이라며 "그는 이번 러시아 사례를 반면교사 삼으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당국이 내부 통제를 한층 더 강화하려 할 가능성이 있단 것이다.

현재 '최악의 식량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은 지난달 말 정찰위성 발사에도 실패하면서 "주민들에게 과시할 만한 성과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다만 문 센터장은 "북한·중국·러시아는 오히려 이번 바그너 사태 이후 서로 간의 결속력을 더 높이려 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바그너 그룹 사태로 현 푸틴 체제의 취약성이 드러난 건 사실이지만, 이는 최고 지도부 입장에선 역설적으로 '북중러가 더 단단히 결속해야 한다'는 명분을 제공하는 소재가 될 수 있단 얘기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우리 정부로선 러시아 상황뿐만 아니라 북한·중국 등의 향후 움직임에 대해서도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우방국 중국과 북한에게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미국의 표현대로 '권위주의 국가' 수장들로선 최우선적으로 집안 단속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그중에서도 현재 최악의 식량난을 겪고 있는 북한의 경우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군사정찰 위성 발사에도 실패하며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리더십도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가운데서다.

또한 동시에 푸틴 대통령을 비롯해 김 총비서 및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와그너 사태 이후 3국 정상 간 결속력을 더욱 높이려 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고착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로선 중러의 '북한 감싸기'가 더욱 분명해질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미 북한의 대륙간탄도시마일(ICBM) 시험발사 등 무력 행보에도 '거부권'(비토권)을 가진 중러 양국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 채택 등 공동대응에 매번 '딴지'를 걸어왔다.

또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 3월 정상회담에서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최근 한반도 정세에 "관련 각측의 냉정과 자제를 요구한다"며 미국을 향해선 "북한의 합리적 우려에 호응해야 한다"고 명시하기도 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와그너 그룹 사태는 푸틴 대통령이 그간 믿고 의지했던 프리고진이 반기를 들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며 "김 총비서가 현재 제일 두려워하고 힘들어하는 게 내부 반발과 내부 단속"이라고 말했다.

문 센터장은 "김 총비서는 러시아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으려 할 듯"이라며 "아울러 김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 시 주석은 이번 사태 이후 결속력을 더욱 높이려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민호 기자 (ntiger@news1.kr)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