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해외소식2024-03-14 12:11:50
0 1 0
72년 철제 산소통서 생활… 기적의 美 ‘아이언렁맨’ 세상 떠나다
내용

입력2024.03.14. 오전 11:50

 

70여년간 ‘아이언 렁’ 안에서 누워 지내온 폴 알렉산더의 2018년 모습. 댈러스 모닝 뉴스·AFP 연합뉴스

6세 때 소아마비로 전신 마비

법학 학위 취득… 변호사 활동

도구 물고 키보드 두드려 책써


소아마비에 걸려 72년간 철제 호흡기에 의지해 살면서 사람들에게 긍정과 희망의 메시지를 줬던 미국 남성 폴 알렉산더가 7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3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알렉산더는 1952년 6세 때 소아마비에 걸려 전신이 마비돼 ‘아이언 렁’(iron lung)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환자의 머리를 제외하고 온몸을 완전히 감싸는 큰 원통 형태의 이 철제 기기는 음압 인공호흡기의 일종으로 소아마비 등으로 근육 조절 능력을 잃은 환자의 호흡을 돕는다.

이 기기 안에서 평생 누워 지내야 했지만, 알렉산더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지 않고 절대 포기하지 않았다. 힘든 상황에서도 학교에 다닌 그는 1978년 텍사스대에서 경제학 학사학위를, 1984년 같은 대학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다. 변호사로 활동했던 그는 작가의 꿈도 이뤘다. 손을 쓸 수 없지만, 입에 도구를 물고 키보드를 두드려 책을 썼다. 

그는 2018년 지역 매체인 댈러스 모닝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성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돌아가신 부모님의 마법 같은 사랑 덕분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부모님은 ‘넌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말했고, 나는 그 말을 믿었다”고 했다.

알렉산더는 그동안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 동영상 사이트 틱톡에 ‘아이언렁맨’(ironlungman)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동영상을 올려 왔다. 그의 사연은 많은 이들에게 큰 울림을 줬고, 그를 응원하는 메시지가 잇달았다. 

그의 오랜 친구 대니얼 스핑크스는 지난 11일 알렉산더가 댈러스의 한 병원에서 숨을 거뒀으며 최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나 정확한 사망 원인은 알지 못한다고 전했다. 스핑크스는 “알렉산더는 웃는 것을 좋아했다”며 “그는 이 세상의 밝은 별 중 하나였다”고 추모했다.  
 

김지은 기자(kimjieun@munhwa.com)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