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해외소식2024-05-28 11:04:40
0 2 0
"한·중·일 협력 진전 미지수"…美 언론, 한·중·일 정상회의 평가는?
내용

 

입력2024.05.28. 오전 6:31 수정2024.05.28. 오전 7:32

 

 

NYT "북한 등 민감한 사안엔 입장차 확인""한·중·일 3국이 장기적으로 지속된 복잡한 문제들에 직면해 있어 협력이 얼마나 극적으로 촉진될지는 알 수 없다."

한·중·일 정상회의가 약 4년6개월 만에 재개된 가운데 27일(현지시간) 미 언론은 이 소식을 일제히 비중 있게 보도했다. 대체적으로 미·중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한·미·일 삼각 공조에 균열을 만들려는 중국의 행보를 경계하는 시선이 주를 이뤘다.

 



 

미국 AP통신은 "동북아시아 3국이 최고위급 회담을 재개하고 관계 개선 필요성에 동의한 것만으로도 협력에 긍정적인 신호"라면서도 3국 간 협력에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통신은 "겉보기엔 우호적인 회담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한때 미국과의 안보동맹을 강화하려는 한일의 움직임에 대한 중국의 불안을 표명했다"며 "베이징은 이를 두고 중국을 억제하기 위한 블록을 형성하려는 시도로 보고 있다"고 짚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3국의 회담 의제가 공통분모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분야에만 집중됐고 민감한 사안에선 뚜렷한 입장 차이를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회담은 주로 공급망 보호, 무역 활성화, 고령화 및 새로운 전염병 문제에 대한 협력 등 공통분모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분야에 중점을 뒀다"며 "대만, 북한 등 골치 아픈 지역 안보 문제는 회피했다"고 전했다.

특히 한·미·일 정상회의 직전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계획 발표가 3국 간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고 짚었다.

신문은 "북한의 점점 더 공격적인 군사 태세는 한국과 일본의 우려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을 격렬하게 비난했으나 리 총리는 북한을 비난하지 않고 모든 당사자에게 자제와 정치적 해결을 촉구했다"고 썼다. 이어 "수년간의 공백 기간 미·중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면서 중국과 두 미국 동맹국 간의 관계도 최근 몇 년간 악화됐다"며 "전문가들은 3국 정상회의를 부활시킨 것만으로도 성과라고 평가한다"고 적었다.

미 경제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보호 무역주의 탈피 요구에도 불구하고 3국은 보호주의 탈피에 대한 이니셔티브에 합의하지 못했다"며 "대신 수출통제 분야에서 소통을 지속할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에 대한 반대 전선에 한일을 끌어들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는 취지다.

신문은 "중국은 미국의 동맹들이 더 강한 대중 무역 관계를 추구하도록 설득하는 것에서 계속 제한에 직면할 것"이라며 3국이 대만,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미국은 한·미·일 삼각 공조에 대한 중국의 갈라치기에 맞서 오는 31일 워싱턴 D.C.에서 한·미·일 3국 외교차관 회의를 개최한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