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해외소식2024-06-07 12:36:55
0 2 0
초대형 우주선 `스타십`, 네 번째 만에 지구 귀환 성공
내용

 

입력2024.06.07. 오전 10:01 

 

 

스페이스X, 지구 궤도비행 후 무사히 착륙
스타십, 인도양에 착수..슈퍼헤비도 임무달성

 


 

스페이스X의 스타십이 6일(현지시간) 오전 7시 50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 우주발사시설에서 발사됐다. 연합뉴스

 

 

역대 가장 큰 로켓으로 개발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선 '스타십'이 네 번째 시험 비행 만에 지구 궤도를 돌아 성공적으로 귀환했다. 스타십을 통해 달과 화성에 갈 수 있는 초대형 우주수송 서비스 실현에 한 발짝 다가서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스페이스X는 6일(현지시간) 오전 7시 50분(미국 중부시간) 텍사스주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다.

스타십은 발사 3분 후 전체 2단 발사체의 아랫부분인 '슈퍼헤비' 로켓이 상단 우주선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고, 15분 만에 대기권 밖으로 날아갔다. 이후 스타십 우주선은 시속 2만600㎞로 고도 210㎞에 도달해 예정된 지구 궤도 항로를 비행한 뒤 발사 40분이 지난 시점부터 고도를 낮추기 시작했다. 이어 대기권에 재진입해 바다에 착수(스플래시 다운)했다. 약 70분 가량의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이다.

스플래시 다운은 우주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낙하산으로 속도를 줄이면서 바다에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우주선에서 먼저 분리된 슈퍼 헤비도 처음으로 착륙 연소에 성공했고, 멕시코만에 연착륙해 발사 후 약 8분 만에 비행 테스트의 주요 목표를달성했다.

 

 

다만,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지난 3월과 같은 폭발은 없었지만, 스타십은 상당 정도 파손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일론 머스크는 소셜미디어 X에 "많은 타일이 손상되고, 플랩(덮개)이 손상됐지만 스타십은 바다에 연착륙했다"고 했다.

빌 넬슨 미 항공우주국(NASA) 국장은 X를 통해 "스타십의 성공적 시험 비행을 축하한다. 아르테미스를 통해 인류를 달로 돌려보낸 후 화성으로 나아가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고 평가했다.

스타십은 일론 머스크가 달과 화성에 인류와 화물을 보내기 위해 1단부인 '슈퍼헤비'와 2단부 '스타십 우주선'으로 구성된 2단 로켓으로, 길이 120m에 추력이 7590톤에 달하는 초대형 로켓이다. 로 2026년 예정된 NASA의 아르테미스 3호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준기 기자(bongchu@dt.co.kr)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