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 뉴스 상해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상해 뉴스2024-05-30 12:58:22
0 0 0.0 0
[코트라] 2024년 상하이 국제 건강영양 전시회 참관기
내용

 

  • 현장·인터뷰/중국
  •  
  • 상하이무역관/2024-05-29/출처 : KOTRA

중국 최대 규모의 건강영양제품 전문 전시회로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 참가

국제 의약품 원료 전시회 및 약품 전시회 함께 진행돼

 

상하이 국가회전중심에서 지난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2024 중국 국제 건강영양 전시회'가 개최됐다. 전시회에는 약 30개국 1200여 개의 국내외 기업들이 참가해 자사의 제품들을 선보였으며 그 종류도 보건 건강식품, 기능성식품, 영양 보양식부터 특수 의약용 조제 식품, 기능성 화장품까지 광범위한 제품군들을 아우르고 있었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국내외 의료 약품 및 건강영양 산업의 공동 발전을 캐치프레이즈로 해 의약품 전시회 등과 동시에 개최됐으며 다양한 기업들의 제품들과 최신 시장 트렌드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2024년 중국 국제 건강영양 전시회

(China International Natural Health & Nutrition Expo)

개최 시간

2024년 5월 15~17일, 총 3일

장소

상하이국가회전중심 (上海国家会展中心)

규모

전시 면적 40,000㎡, 

약 30개국 기업 1200여 개사 참가

전시 분야

건강식품, 영양 보충 식품, OEM 제조, 특수 의료용 조제 식품 등 건강 기능성 제품

홈페이지

http://www.nhnexpo.com/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회 전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55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hh.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406pixel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촬영] 

 

<전시장 구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570pixel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시장 동향

 

전 세계적으로 출생률 감소와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고령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중국도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중국 국가통계국 조사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중국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2억9000만 명을 넘어섰다. 2021년 중국 총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4.2%로 이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으며, 2035년에는 20%에 달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인 경우 고령사회, 20% 이상인 경우 초고령사회로 간주

 

<중국 총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 차지 비율>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2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0pixel, 세로 328pixel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국가통계국]

 

생산연령인구(15세 이상 64세 이하) 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인 부양률도 2022년 기준 중국 전체 성급 중 20개 성·시가 이미 20%를 넘어섰으며, 특히 랴오닝성(28.8%), 충칭시(27.3%), 쓰촨성(27.1%)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대도시인 장강삼각주 장쑤성, 상하이시와 산둥성 노인 부양률도 25%를 넘어섰다.

 

<2022년 주요 성급별 노인 부양률>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2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8pixel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국가통계국]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 중국 노년층부터 젊은 층까지 모든 세대가 건강과 웰빙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건강영양식품은 최근 중국 소비 시장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에선 중국 건강영양식품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군을 크게 보건 식품, 기능성 식품, 건강영양식품으로 나누고 있다.

 

<건강영양식품 세부 분류>

분류

세부 설명

보건 식품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식이 영양 보충제 및 특수 기능 보건 식품

- 인증기관의 효능검증을 통과해야 하며, 국산과 수입산 모두 등록 비준 필수

- 인증받은 건강식품은 포장지에 '파란모자(蓝帽子)' 로고를 표시해야 함

기능성 식품

미용 및 체중 관리, 운동보조제 등 기능 강화 식품

- 일반적으로는 보통 식품과 동일하게 첨가제와 생산과정 안정성을 관리받음

- 보건 식품과 달리 효능검증 불요해 보건 식품보다 시장 진입 수월

- 단 '파란모자(蓝帽子)' 로고 달수 없으며 보건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홍보할 수 없음

(그 외) 

건강영양 식품

저당·무당, 고단백, 유기농·신선·천연·무첨가, 저열량·저탄소·저지방·통곡물·고영양 식품 등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심으로 건강영양 관련 검색량이 급증했는데, 2023년 9월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전년 동월 대비 건강영양 관련 키워드 검색 건수가 틱톡(抖音)은 264.6% 증가, 위챗(微信)은 473.9% 증가, 바이두(百度)는 14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들이 갈수록 건강을 최우선으로 해 제품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건강영양식품에 대한 수요도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정부 주도의 국민건강진작을 위한 각종 정책, 인구 구조 변화, 경제 수준의 향상 및 산업고도화에 따라 건강영양식품 시장 규모는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상업산업연구소(中商产业研究院)에서 발표한 '2023~2028년 중국 건강영양 산업 전망 및 발전 동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건강영양식품 시장 규모는 6317억 위안으로, 2019~2023년 5년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이 약 7%에 달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2024년 중국 건강영양식품 시장 규모는 678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2019~2024년 중국 건강영양식품 시장 규모(예측치)>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9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99pixel

[자료: 중국 상업산업연구소(中商产业研究院)]

 

한편 2022년 중국 기능성식품 시장 규모는 약 3664억 위안, 보건 식품 시장 규모는 약 2221억 위안에 달했으며 2027년 전체 기능성 및 보건 식품의 시장 규모는 80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천연·무첨가·유기농, 저당·무당, 고단백 등을 내세운 건강영양식품 판매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한 급증세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됐다.

 

<2017~2022년 중국 기능성식품 및 보건식품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380000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8pixel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특히 중국 소비자들은 건강식품을 구매할 때 영양소 함량, 안전성 인증 여부, 성분의 투명성, 유기농 무첨가 제품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중국 소비자 건강식품 구매 시 고려 요소>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9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8pixel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한편 Z세대(1995~2010년생) 소비자들 중심으로도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 건강영양식품 구매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대는 해당 제품의 효능을 가장 우선으로 해 구매를 결정하며 그다음으로 제품의 가격과 맛 등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20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8pixel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전시회 현장 스케치

 

이번 전시회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중국 건강영양 시장의 열기를 엿볼 수 있는 자리였다. 현장에는 보건 식품, 기능성식품, 건강영양식품 등 다양한 식품업체뿐 아니라 미용 및 안티에이징 관련 화장품 업체, 제품 원료 제조업체, 제약업체 등 다양한 업계 부스가 마련돼 있었다.

 

전시회 한편에서는 건강영양 시장 동향과 트렌드를 소개하는 여러 포럼이 함께 개최됐으며, 다양한 기업들이 자사 제품을 홍보하는 라이브 방송도 진행돼 현장에서 프로모션과 판매가 함께 이뤄지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KOTRA 상하이 무역관은 현장에서 많은 참가객들이 관심을 보이던 부스 몇 곳을 찾아 인터뷰를 진행했다.

 

<전시회 현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56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321pixel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촬영]

 

① 중국 중약 제조기업 A사

 

A사는 1669년 설립돼 중국 중약 제조업계에서 가장 전통이 있는 회사로 약재 재배부터 약품 제조 및 가공, 판매, 연구개발 제반 과정을 아우르는 자체 산업 가치사슬을 갖추고 있었다. A사 관계자는 상하이 무역관과 인터뷰에서 최근 가장 인기를 얻고 있는 제품이라며 더위 해소와 현기증 완화에 특출난 효능을 보이는 자사 제품을 소개했다. 최근에는 천연 성분이 들어간 제품을 특히 선호하는 중국 소비자들을 겨냥해 동충하초 등 천연재료를 최대한 활용해 인공 화학물질은 최소화한 의약품 연구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6.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492pixel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촬영]

 

② 식품소재 기업 B사

 

B사는 안정성이 입증된 천연색소, 유화 색소, 향료 등의 신제품을 개발하는 회사로 특히 자체 연구소를 갖추고 있어 바이어 등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제품 기획부터 생산까지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KOTRA 상하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이산화티타늄 등 기타 인공색소와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고객 맞춤형으로 천연색소를 생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다양한 바이어와 고객을 만나 자사 제품을 시연하고 많은 니즈와 피드백을 참고해 향후 제품개발에 참고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600pixel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촬영]

 

③ 화장품 관련 기업 C사

 

화장품 회사인 C사도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는데, C사의 자외선 차단 선크림은 최근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 중 하나였다. 해당 제품은 광생물학 자외선 차단 시스템으로 외부의 전파가 침투할 수 없도록 차단하면서 피부의 근본적인 손상까지 복구해 전반적인 피부 건강을 케어하는 것으로 홍보하고 있었다. C사는 KOTRA 상하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지속적인 제품 연구개발과 품질개선으로 중국 시장 내 점유율을 지속 확대해 나갈 생각이라고 답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502pixel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촬영]

 

시사점

 

중국의 건강영양 시장은 식용제품부터 그 외 제품까지 다양한 신제품들을 연일 쏟아내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관련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중국 인구구조의 변화와 함께 중국 소비자들도 자신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한 지출에는 아끼지 않고 있어 향후 건강영양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현장에서 만난 한국 측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중국의 최신 건강영양 시장 트렌드와 소비자들의 선호를 파악할 수 있었다며, 특히 최근 몇 년 새 중국 로컬기업들이 앞다퉈 우수한 품질의 제품들을 내놓고 있어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 기업들 또한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현지 소비자들의 시시각각 변하는 수요를 면밀히 살피며 긴장을 놓칠 수 없을 것이라 말했다.

 

 

자료: 2023년 틱톡 건강영양식품 트렌드 보고서, 중국 국가통계국, 중국상업산업연구소,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