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 뉴스 상해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상해 뉴스2024-11-04 11:52:22
0 7 0.0 0
‘초박빙’ 해리스-트럼프…시진핑 ‘차악의 맞수’ 누굴까
내용

 

해리스, 바이든 정책 계승해 ‘예측 가능성’이 장점 꼽혀
트럼프 재선땐 ‘반중 연대’ 흔들…미-중 관계변화 가능성

최현준기자

  • 수정 2024-11-04 11:46
  • 등록 2024-11-04 11:13

 

초박빙으로 치닫는 미국 대선 결과에 가장 관심이 많은 국가 중 하나로 중국을 빼놓을 수 없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미국대선’을 주제로 한 해시태그(#)가 148억회 조회되고 375만개의 댓글이 달리는 등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중 갈등이 10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새 미국 대통령이 누군지가 향후 중국의 4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중국 정치 일정이 미국 대선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지난달 중국 최고입법 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상무위원회 회의를 이달 4~8일 연다고 발표했다. 전인대 상무위 회의는 통상 짝수달 말에 열리는데, 이번 회의는 미국 대선이 시작되고 윤곽이 드러나는 때로 회의 기간이 잡혔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전인대 상무위가 이번 회의에서 10조위안(1900조원)의 경기 부양책 승인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만약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부양책 규모를 더 늘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중 누구의 당선을 원할까? 중국의 국제관계 등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누가 당선되든 미·중 전략 경쟁의 기본 구도는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며, 약간의 차이만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21년 트럼프 행정부에서 바이든 행정부로 바뀐 뒤에도 미·중 갈등의 발생 지점이 다소 바뀌었지만, 경제·외교·안보 등 분야에서 기본적인 경쟁 관계는 변하지 않았다. 진찬롱 중국 런민대 국제학부 부학장은 최근 열린 한 포럼에서 “미국과의 경쟁은 변할 수 없는 상수”라며 “대선 결과에 따라 워싱턴의 전술이 거칠지, 정교할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각론으로 들어가면 두 후보의 차이가 적지 않다. 해리스 부통령은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동맹국과 함께 반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을 압박해 온 바이든 대통령의 대중국 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동맹이 아닌 미국 우선주의 혹은 고립주의를 선호한다. 그는 대중국 관세 60%를 공약함과 동시에 “시진핑과 서로 잘 안다”고 말하는 등 변화를 예고했다. 해리스 부통령이 까다롭지만 예측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과격하고 예측이 어렵지만 꽉 막힌 미·중 관계의 변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중국 국책기관에서 국제 관계를 연구하는 한 연구원은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누가 되든 중·미 관계의 전반적인 구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제하며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민주당 정부가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정책을 계승하기로 했다”며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어떤 돌발 정책이 나올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대만 학자인 왕신셴 대만 국립정치대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도 한겨레에 “중국이 해리스를 더 선호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바이든 정부는 지난 3년간 베이징과 각 분야에 소통 창구를 구축했다”며 “중국은 힘들게 구축한 창구를 유지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중국은 트럼프가 당선돼도 불리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사업가 출신이라 거래를 선호한다. 또 동맹을 신뢰하지 않는 태도는 대중국 봉쇄의 균열을 야기하는 등 미·중 관계에 변화가 생길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을 더 선호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중국의 독립 정치 평론가이자 전 칭화대 강사인 우창은 독일 언론 도이체벨레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복귀하면 이는 미국 민주주의의 분열을 의미한다”며 “이는 중국에 이익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고립주의로 돌아가고 유럽 및 전 세계 동맹국과 분열될 것”이라며 “이런 고립주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난 임기 막판에 매우 명백히 나타났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이 ‘미국엔 위기, 중국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중이던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인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선언했고, 2019년에는 파리 기후변화 협약 탈퇴를 통보했다. 그는 동맹국인 한국에 방위비분담금 인상을 압박했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탈퇴를 시사하기도 했다. 중국은 이 시기 미국을 대신한 국제사회의 리더로 올라서기 위해 노력했다.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에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했고, 브릭스와 상하이협력기구(SCO) 등 미국에 대항한 국제 모임을 주도했다.

 

한겨레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