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식 한국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소식2024-01-11 11:47:14
0 0 0
[경제] 중견기업 72.4% "올해 수출 실적 유지되거나 호전될 것"
내용

입력2024.01.11. 오전 8:40  수정2024.01.11. 오전 8:41

 

중견련, '2024년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 발표중견기업의 72.4%가 올해 수출 실적이 지난해 대비 유지되거나 호전될 것으로 내다봤다.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27.6%에 그쳤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1일 '2024년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402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중견기업의 45.5%가 올해 수출이 지난해 대비 확대될 것으로, 26.9%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확대 전망에는 '경기회복'(38.8%), '신규 진출 지역 매출 신장'(35.0%)에 대한 중견기업인들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 58.8%, 화학물질·제품, 석유, 식·음료품은 50.0%, 도소매업 43.2% 등 순으로 수출 확대를 전망한 중견기업 비중이 높았다.
 



수출이 감소될 것이라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지속'(64.9%)을 가장 큰 위험 요소로 꼽았다. '원자재 가격 상승'(13.5%), '환율 변동성 확대'(9.9%), '물류비용 상승'(3.6%)이 뒤를 이었다.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해 중견기업들은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33.1%), '수출국 다변화'(29.9%), '내수 비중 증대'(20.8%) 등 다양한 자체 수출 경쟁력 제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중견기업인들은 수출 활성화를 위해 '관세·부가세 등 세제 지원 강화'(31.6%), '보증 등 무역금융 확대'(27.9%)'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견련 관계자는 "중견기업의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실적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난 전향적인 금융지원과 업종별 중견기업의 구체적인 요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효적인 세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견기업 수출 현황을 살펴보니 75.1%는 3개 이상 국가에 진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30.1%), 중국(22.4%), 일본(11.7%), 베트남(10.4%), 유럽(7.2%) 순이었다. 수출 시 어려움으로는 '통관 등 행정 애로'(25.1%)와 '해당국 수입 규제'(24.9%)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인증 등 기술 규제'(18.9%), '현지 법률 정보 부족'(17.9%)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의 34.3%는 신규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 중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이내를 목표라고 밝힌 기업은 81.1%에 달했다. 신규 진출 목표 시장은 미국(21.7%), 베트남(14.5%), 유럽(14.5%), 인도네시아(10.1%) 순으로 조사됐다. '기존 시장 포화'(31.2%), '신사업 확대'(20.3%), '전략적 입지 확보'(20.3%), '거래사와의 협업 강화'(17.4%) 등이 신규 시장 진출 추진 이유였다. 다만 신규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정보에 관해서는 절반이 넘는 51.5%의 중견기업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경제적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 속에서도 72.4%의 중견기업들이 수출 실적 유지, 호전을 전망한 조사 결과는 경제 활력 제고의 의미 있는 신호"라면서 "공급망 재편, 자국중심주의 확산 등 무역·통상 환경이 크게 변화된 만큼 안정적인 수출 시장 확보를 위해 수출국 다변화, 공급망 안정화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될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긴밀한 소통을 이어 가겠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편집인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