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뭉크展’… 섹션별 주요 작품 찾아 즐기세요22일 관람객을 맞이하는 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전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에서는 초년의 뭉크 ‘자화상’(1882~1883)부터 노년의 ‘자화상’(1940~1943)에 이르기까지 140점의 작품을 14개 섹션으로 나눠 감상하도록 했다. 대표작 ‘절규’(1895)를 비롯해 ‘마돈나’(1895), ‘불안’(1896), ‘뱀파이어’(1895) 등 주요 작품과 최초 공개(노르웨이 뭉크미술관 제외) 작품들까지 만날 수 있다.
전시를 기획한 디터 부흐하르트 큐레이터와 양수진 전시 코디네이터는 주목할 만한 섹션으로 섹션1, 2, 4, 5, 14를 꼽았다. 섹션1은 ‘크리스티아니아(현 오슬로)에서의 초년: 자연주의, 인상주의 및 상징주의와의 만남’을 주제로 지역의 소박한 풍경과 사람들을 기록했다. ‘그물을 고치는 남자’(1888), ‘카바레’(1895) 등이 대표적이다. 섹션2 ‘프랑스에서의 시절: 달빛, 키스, 생 클루의 밤까지’에는 뭉크의 ‘생의 프리즈’ 시리즈에서 가장 상징적인 모티프인 ‘키스’(1892)와 ‘달빛 속 사이프러스’(1892) 등을 전시했다. 전 세계에 2점밖에 없는 뭉크의 ‘절규’(1895) 채색판화는 섹션4에서 만날 수 있다. 비인간적이고 잔인한 행위들이 자행됐던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이 작품은 20세기의 상징과도 같은 작품으로 자리잡았다. 섹션5 ‘공포와 죽음’에서는 ‘불안’, ‘재’(1896), ‘병든 아이’(1896), ‘뱀파이어’ 등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섹션14에서는 뭉크의 말년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1930년 제작된 유화 ‘흐트러진 시야’는 묘사된 두 인물의 빠른 움직임을 나타내는 왜곡된 신체 원근법이 눈에 띄는 작품이다. 스스로 고립된 상태에서 고독과 노화라는 주제에 점점 더 집중한 뭉크의 노년을 엿볼 수 있다.
색감·기법 따라 14개 섹션 선별
전 세계 2점 뿐인 ‘절규’ 채색판화
고독·노화에 집중한 노년 작품들
“1, 2, 4, 5, 14 섹션에 특히 주목을”
같은 제목의 다른 버전 작품을 비교 감상하거나 뭉크의 실험성을 엿볼 수 있는 양면 회화를 만날 수 있다는 것도 이번 전시의 큰 특징이다.
뭉크는 어린 시절부터 질병, 죽음 겪어야 했다. 그의 어머니는 뭉크가 5세였을 때 결핵을 앓다 3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3세가 되던 해 뭉크도 결핵에 걸렸지만 살아남았고, 이후 누이인 소피에가 극심한 고통을 겪다 사망하는 것을 목도했다. 이런 사건들을 겪으며 ‘병든 아이’와 같은 작품이 탄생했다. 뭉크는 23세였던 1886년 크리스티아니아에서 열린 연례 가을 전시회에서 ‘병든 아이’를 처음 그렸다. 뭉크는 붉은 머리카락의 누이가 창백한 얼굴로 흰 베개에 머리를 기댄 채 죽어가는 모습을 재현하고 싶었다. 피곤한 눈꺼풀의 움직임, 속삭이는 듯한 입술, 남아 있는 작은 생명의 깜박임 등을 표현하려고 했다. 동판화 ‘병든 아이’(1894)는 회화 버전과 좌우 반전된 구도를 취하는 반면 이어지는 판화 시리즈는 소녀의 머리와 어깨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병든 아이 I’의 다색 석판화에서도 이 축소된 구도를 유지했다. 석판화에서 뽑아낸 다양한 색상의 인상은 뭉크에게 이 주제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보여 준다.
절규, 그 이상의 ‘뭉크’
여러 버전의 ‘뱀파이어’ ‘병든아이’
한자리에서 비교하며 볼 수 있어
양면 작품 ‘난간 옆의 여인’도 눈길
‘뱀파이어’는 회화, 드로잉, 판화 등 여러 버전으로 존재한다. 뭉크는 자전적 기록에서 “이것은 경고다…. 여기 이 그림은 사랑이 죽음과 함께한다는 것을 말한다”고 말했다. 뭉크는 ‘뱀파이어’라는 제목으로 두 개의 석판화를 만들었다. 첫 번째 버전은 창문과 커튼 모티프로부터 공간적 관계를 느낄 수 있지만, 더 규모가 큰 두 번째 버전은 작품에 등장하는 남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뭉크는 여기에 크레용 외에도 석판화 잉크를 사용했으며, 긁어내는 기법을 이용해 인물을 더욱 강조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채색판화 버전과 아주 희귀한 파스텔 작품이 함께 전시된다. ‘뱀파이어’ 모티프를 통해 뭉크는 사랑과 고통, 입맞춤과 죽음 사이를 오가는 작품을 창조했다.
이와 함께 섹션3에서는 양면 회화를 만날 수 있다. 앞면은 ‘난간 옆의 여인’(1891)이, 반대편에는 목탄으로 드로잉한 작품 ‘목소리’(1891)가 그려져 있다. 이 작품은 뭉크가 사용했던 ‘로스쿠어’라 불리는 작품에 대한 극단적 처리 방식이 적용됐다. 작품을 날씨에 자연스럽게 노출해 작품의 노화 과정을 그대로 담아 시간이라는 요소를 작품에 도입했다. 부흐하르트 큐레이터는 “전시를 위해 매우 독특하고 실험적인 색감과 제작기법이 적용된 작품을 선별하다 보니 섹션14에 이르게 됐다”며 “작품 설명을 읽기 전에 전시된 걸작들을 먼저 감상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