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도이치텔레콤, 싱텔 등과 텔코LLM
KT, MS와 한국형 AI 개발중
정부와 협력 경험 강점, 인재풀 부족 약점
개방적 파트너십, 열정적인 기술 개발 필요
[이데일리 김현아 IT전문기자] 최근 글로벌 통신사들이 ‘소버린 AI(Sovereign AI)’의 주요 주체로 떠오르며 주목받고 있다. 소버린 AI는 국가 차원에서 데이터, 인프라, AI 모델 등을 직접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국가의 AI 주권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7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017670)은 글로벌 통신사들을 위한 텔코 LLM(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을 추진 중이며, KT(030200) 역시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한국형 AI’를 개발하고 있다. KT 김영섭 대표는 국가AI위원회 민간 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또한 SK텔레콤은 도이치텔레콤, 이앤(e&) 그룹, 싱텔 그룹, 소프트뱅크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연내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통신사들이 AI 산업의 핵심 축으로 자리잡으려는 배경에는 글로벌 하이퍼스케일러인 오픈AI, 구글, 네이버 등과 차별화된 강점이 있다.
통신사들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 능력뿐만 아니라,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 규제와 정책에 따라 AI를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마니 마하데반(Mani Mahadevan) MS 고문은 “통신사들은 수십 년간 정부와 협력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각국의 AI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통신사 입장에서는 AI가 투입된 자본 대비 3배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
인재풀 부족, 고도화된 비즈니스 모델이 숙제
그러나 통신사들이 소버린 AI의 핵심 주체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AI 인재풀의 부족, 고도화된 비즈니스 모델 구축, 각국 정부의 선택 등 여러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토마스 센하우저(Thomas Sennhauser) 인텔 아태 비즈니스 리드는 “AI의 성공에는 인재가 필수적이지만, 통신 업계는 많은 AI 전문가들이 선호하지 않는 분야”라며 “그들이 일하고 싶게 만들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챗GPT 훈련에만 46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AI 도입 시 환경적 측면과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니콜라이 도버스타인(Nicolai Dobberstein) 커니 리더는 “미국과 중국이 AI 글로벌 리더십을 추구한다면, 한국은 싱가포르, 중동, 일본, 에스토니아와 함께 AI 인에이블러(enabler, 조장자)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각국은 윤리적 기준과 데이터 보호를 중시하는 AI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통신사는 신뢰받는 인프라 사업자로서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통신사들이 정부의 AI 주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닫힌 파트너십이 아닌, 보다 개방적이고 기술 개발에 열정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각국 정부가 AI 주권을 유지하기 위해 통신사를 선택할지, 빅테크 기업을 선택할지가 향후 AI 산업의 향방을 결정할 주요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편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는 11월 27~28일 영국에서 AI 서밋을 열고, 내년 MWC에서도 AI서밋을 부대행사로 여는 등 각국 정부로부터 AI 조정자 역할을 부여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데일리